목차
배움 기록은 왜 하는 걸까요
-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복습하는 용도 : 배운 내용을 복습하고 내 것으로 만드는 시간을 가져요. 다만,
강의 자료를 고대로 베끼는 것
은 기록이 아니겠죠?!
- 나의 노력과 관심사를 증명하는 수단 : 내가 이 분야를 공부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고 꾸준히 관심을 가졌는지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요? 기록을 해둔다면 여러분의 꾸준함과 성실함을 증명할 수 있어요!
- 포트폴리오로 활용 : 노력과 관심사를 보여주고 프로젝트 후기 글을 통해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어요! 그때그때 기록한 내용들은 나중에 포트폴리오를 다시 정리할 때도 도움이 되죠! (그리고 채용 공고에 블로그 작성 경험을 우대하는 경우도 있다는 사실)
- 더 나아가 개인 브랜딩 : 최근에 눈에 띄는 개발자들은 어떻게 유명해지게 되었을까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블로그'를 한다는 사실이 아닐까요? (실제로 IT 교육 회사에서 개발자를 모셔올때 중요하게 보는 것도 블로그 혹은 유튜브! 랍니다.)
TIL은 정말 구직에 도움이 될까?
본인이 비전공자이거나, 전공자여도 인공지능, 자율주행, 프론트엔드,백엔드 분야를 공부하는데 데브 코스 외에는 접점이 없던 사람이라면 분명 도움이 될 거예요. 데브 코스 과정을 단순히 '5개월 참여' 한 것이 아니라 그간 학습한 내용이 무엇인지, 어디에 특히 관심이 있었는지 전략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다면요.
여기 좋은 예가 있습니다. TIL 블로깅을 통해
K사 개발 팀장에게 직접 러브콜
을 받은 분입니다. 여러분도 꾸준히 잘 정리를 한다면, 이 분처럼 좋은 기회를 얻게 되는 순간이 올 거예요. 🙅🏻♀️ 다만, 시키니까 도움이 된다니까 억지로 하는 거라면 안하셔도 괜찮습니다. (정말로요!)
배움 기록에 대한 오해
오늘 배운 것을 다 정리해야지
배움을 기록하는 것에 대해 많은 분들은 오해를 종종 하고 있어요. 오늘 배운 것을 다 정리하는 것은 필기라면, 배움 기록은 공개된 곳에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정리라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전부' 기록을 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내 '공부'는 잘 되고 있는지 한편으로는 걱정도 되었답니다.
이 글은 나만 봐야지
공개된 곳에 기록한다면, 누가 보게 될까요? 관련 키워드를 검색해서 들어온 사람들이겠죠. 혹은 이력서 제출할 때 블로그 링크를 추가 해놨다면, 면접관들이 볼 수도 있고요. 요점은 '내'가 아닌 '타인'이 기록을 본다는 거죠. (다만, TIL의 경우엔 일기와 같은 형식이라 조금 다를 수 있을 것 같네요.)
배움 기록 가이드
아무런 가이드 없이 배움을 기록하다 보니 어떤 내용을 기록해야 하는지, 누가 보는지를 고민하지 않고 정리할 수 있어서,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록 방법을 공유합니다.
작성할 때 주의 할 점
프로그래머스의 모든 강의 자료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강의 자료를 캡쳐해서 올리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공개된 문제의 경우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셔야 합니다.
👉 관련 안내 바로가기
기록 방법과 그에 따른 좋은 예

TIL : TIL은 일기와 같은 거라고 생각해요. 오늘 무엇을 새롭게 알게 되었는지, 느낀점은 무엇인지 간단하게 요약해서 쓰는 것을 추천해요. 만약 새롭게 알게된 내용이 굉장히 많다면 시간을 내어 주제로 빼서 정리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TIL 예시
를 살펴봐요!
이렇게 정리해서 써볼까요?
- 오늘 새롭게 배운 것
- 오늘 깨달은 것
- 참고한 자료 : 링크 첨부
주제 정리 : TIL과 다르게 배운 내용을 주제 별로 정리할 수도 있겠죠. 이런 경우에는, 글 주제에 따른 하나의 내용만 담아 봐요. 만약, 내용이 너무 길어진다면 주제를 (1), (2)로 구분해서 글을 나눠서 쓰는 것을 추천해요.
주제 정리한 예시
를 살펴봐요!
🐣 데브코스 선배들의 작성 예시
자율주행 김주형
: https://www.notion.so/9cb16d6e15e34377a38eda79617cf4f5?v=f110ea91474243799ee866e79c5bf72c
인공지능 이재희
: https://velog.io/@du-du-zi/통계-용어-정리-확률변수란
👀 검색으로 발견한 예시
우아한 형제들 개발자의 스프링 업데이트 문서
: http://honeymon.io/tech/2020/05/25/someone-sallary-developer-monitoring-spring-boot.html
컬리 블로그의 리액트 이해하기
: https://helloworld.kurly.com/blog/thinking-in-react/
이렇게 정리해서 써볼까요?
- 목차 작성하기
- 목차에 따른 내용 쓰기
- 마무리 (요약 혹은 마무리글, 내가 배운점을 간단히 남겨보기)
- 참고한 자료가 있으면 링크 추가
문제 풀이 : 실습 혹은 문제를 풀면서 이 내용을 정리하기도 하죠. 그럴땐, 내가 생각한 풀이 방법과 비교해 볼 수 있는 다른 풀이도 함께 넣어보며 내 코드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을 추천해요. (참고하는 코드를 가져오는 경우 출처 표기는 필수! 입니다. 다만, 강사님이 작성하신 코드를 그대로 복사하는 것은 🚫 금지🚫 입니다.)
문제 풀이 예시
를 살펴봐요!
이렇게 정리해서 써볼까요?
- 문제 링크 (링크 출처를 밝히도록 합시다.)
- 내가 생각한 풀이 방법
- 내가 작성한 코드
- 새롭게 알게 된 것 (혹은 개선사항)
마무리
매일 기록하는 것은 꽤 어려운 일입니다. 그런 일임에도 요청을 드리는 것은, 공부하는 습관을 길러 자생력을 갖추길 바라는 마음에서 입니다 😉
그래서 기록하는게 힘들어 질때, 아래 글을 한 번씩 읽어보시고 본인에게 부족한 점은 무엇인지 한 번씩 살펴보세요. 그럼 이만!
추천하는 글 : 우아한 글쟁이 되기
꾸준한 글쓰기가 주는 힘에 대해 알게 되는 내용인 것 같아 공유해 봅니다. 글이 꽤 길어서 특정 부분만 보고 싶다면, 아래 페이지는 추천하니 꼬옥 읽어보세요.
- 글쓰는 흐름을 알고 싶다면 : 36,37p 참고,
- 글쓰기를 위한 여러 참고 글을 더 보고 싶다면 : 82p
글이 읽기 불편하다고 하면, 영상으로도 있답니다. 집중이 잘 안될때 시청해보세요.
- 영상 바로보기 : https://youtu.be/E8J4RKoGpf8
참고하면 좋을 사이트
- 각 회사의 기술 블로그 모음 : https://prgms.tistory.com/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