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깃허브 issue 및 Jira 사용 목적
⇒ 백엔드에서 이번 프로젝트에서 일정 관리 tool로
jira
를 사용하자고 해서 현재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백엔드 측에서는 개발 구현 관련해서 필요한 task를 jira
의 백로그 이슈로 파고, 해당 이슈에 브랜치와 commit을 연결해서 개발을 진행하는 것 같습니다. github 이슈는 따로 task마다 파지 않고, 프론트와 공유할만한 이슈가 있을 때만 생성하는 것 같습니다.
저희 프론트는 다들 지난 프로젝트에서 github issue를 구현하는 페이지나 컴포넌트 별로 팠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사람들마다 github 이슈의 사용법이 다른 것 같은데, 현업에서는 보통 어떻게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jira도 어떻게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지라에 이슈를 다 쓰면 ⇒ 면접관들이 우리의 작업 내용을 사용할 수 없다.
지라는 범위가 더 넓다 ⇒ 깃허브 이슈보다 포함하는 내용이 넓음
⇒ 쓸 거면 그렇게 해도 되는데
⇒ 개발자 입장에서는 깃허브가 더 효과적
지라는 애자일 조직이 쓰는 것.
깃허브는 개발자가 쓰는 것.
⇒ 기획팀, 디자인 팀 등 제품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이 모일 때, 지라를 사용하면 효과적
- issue 단위는 보통 어떻게 가져가시나요?
- commit 단위로 쪼개는 방법
일단 이슈는 생성,수정이 자유롭다. 그래서 일단 만들고 다른 이슈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자유롭게 팀끼리 정해서 사용 👍
- 기획서
- 와이어 프레임
- 와이어프레임을 짜보니 페이지가 총 7개 정도 나오는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 볼륨이 너무 작은 것 같아서,,,,,
혹시 취업할 때 면접관님 입장에서
프로젝트 내에서 본인이 맡은 작업의 양
을 중요하게 볼까요 ?? 아니면 작업을 얼마나 많이 했는지 보다는맡은 작업을 얼마나 높은 퀄리티로, 적정한 기술의 사용으로 잘 구현했는지
를 더 많이 볼까요,,? 당연히 후자를 중요하게 볼 것 같다고 생각하지만, 전자도 어느정도로 중요하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양보단 질, 질이 안될 때 양으로 승부한다.
고민을 많이 해보면 질을 높일 수 있다. 면접에서 물어 볼만한 질문
“이 라이브러리 왜 썼고, 어떻게 썼냐 ? “
⇒ 대기업, 스타트업 가리지 않고 물어보는 질문 ex) react-query를 쓴다면 함수안에 옵션이 굉장히 많이 있다. 이런 옵션 하나 하나가 어떤 의미이고, 왜 기본값을 이렇게 설정되었는지 생각
이 기술을 어떤 상황에 왜, 어떻게 사용했는지를 고민하고 이에 대한 내용들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
만들어야 할 것을 잘 만들자
- 이벤트 핸들러 → 컨벤션을 아래와 같이 가져가면 함수이름이 너무 길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함수명이 길더라도 명확하게 알아볼 수 있는 이름이 좋을까요? 아니면 알아보기는 비교적 어렵지만 짧은 함수명이 좋을까요?
⇒
onEventName = { handleEventName ... }
⇒ onClick = { handleClick… }
⇒ onChange = { handleChange… }
⇒ 함수 네이밍 규칙과 동일하게
동사 + 명사
규칙을 따릅니다.⇒ 화살표 함수 사용
- props로 넘길 때는 on prefix를 사용한다.
기능이 아닌 구현에 관련된 내용(onClick)이 함수명에 들어가는 것이 어색하다
길어도 직관적인 함수명이 좋다. 최소 단어 두개
- github action 많이 적용해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어느정도까지 이용할줄 알아야 좋을까요?
업무 효율성 증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