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
구글 애널리틱스 - 유용한 모니터링 수단
- 서비스 내 방문자 유입 경로, 이탈율, 종료율 등을 측정할 수 있음.
- 만약 특정 페이지에서 방문자 이탈율이 높다면? 이 페이지의 UX를 돌이켜볼 필요가 있는 것.
- 프론트엔드의 결과물 상에서의 문제점을 "수치화"하기는 쉽지 않다.
- GA와 같은 모니터링 툴을 이용해보자.
페이지 개선 전략
- 특정 페이지의 UX를 개선하기 위한 A, B, C안이 나왔다면, 모든 안에 대해 A/B 테스트를 실시하여 이탈율이 제일 적은 개선안을 최종 선택 및 적용
TS
- any를 안 쓸려면 안 쓸 수 있다. 쓴다고 해도 10개 이내?
- 실제 현업에서 동작하는 서비스들도 any를 거의 안 쓰는 쪽으로 개발되고 있고, 만약 쓴다면 외부 라이브러리 활용 때문에 쓰는 것이 대부분.
학습량
- 이 교육과정에서 제공하는 100% 흡수하는 것은 6개월 이내에 불가능.
- 결국 이 교육과정에서 건져야 할 가장 중요한 능력은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이 능력을 기준으로 삼고, 우선순위가 낮은 것들은 과감히 시간 투자를 줄이는게 맞다.
과제테스트
- 회사별로, 서비스의 특징별로 출제될 수 있는 과제테스트의 유형은 천차만별
- 과제테스트는 실제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능력 중, 요구사항의 구현 능력 (개발 역량)을 보는 것
유저 플로우 논의 단계
- PM, 개발자, 디자이너
- 유저 플로우는 보통 디자이너가 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