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데브코스를 수료하게 되면 신입 개발자로서 저희가 갖추고 있을것으로 예상되는 역량을 정리해보자면
VanillaJS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React, Vue, TypeScript를 활용하여 프론트엔드 화면을 구축
이정도 일 것 같은데, 백엔드에서 보내주는 json데이터를 가공하여 위의 능력만 가지고 현재 시장에서 신입으로 취업이 되나? 라는 의문이 생깁니다.
위의 역량 정도면 사실 흔히 말하는 코더가 되는게 아닌지에 대한 걱정도 조금 있는데, 위의 역량으로 취업이 충분히 가능한지, 혹은 추가적으로 갖춰야할(혹은 심화해야할) 역량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CS지식이나 알고리즘 외 개발 역량에서) @
→ 백엔드에서 가공을 다 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프론트에서 화면에 표현만 하게 될 것 같은데 이 역량이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충분한지
답변
개발자로 일하기 때문에 개발 실력은 당연히 갖춘다는 전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는 개발실력을 늘리는 것이 더 필요하겠지만, 프론트엔드 신입일 때는 보통 저정도의 역량을 기대하는 것 같습니다.
백엔드에서 보낸 데이터를 화면에 보이는 것은 일부일 뿐. 신입에게 엄청난 개발 실력을 기대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기대감은 존재할 수 있어요.
추가 역량은 프로그래밍 자체를 볼 때, 그냥 작성하는 것과 잘 작성하는 것의 차이를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잘 작성하는 역량과 유지보수성. UIUX를 사용자 관점에서 의견을 제시하고, 좋은 UIUX 경험을 이끌어나가며 구성하는 역할도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많이 하는데 이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귀찮음과 당연함을 이겨내고 유저 관점에서 많이 생각해보세요.
프로그래밍적으로는 VanillaJS같은 기술 이해도 중요하지만 브라우저,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도 필요할 것 같아요. 디버거, 개발자도구를 통해 알아가는 영역도 존재합니다. 다만, 각잡고 공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하세요
Q1-2.
멘토님이 신입 개발자를 채용해야 한다는 상황을 가정할때 개인적으로 생각하시는 매력적으로 느낄만한 이력서 포인트가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기초가 중요하지만 기초가 탄탄하다라는 포인트 하나로 채용이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혹은 이력서에서 피해야 할 표현법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 * 기술스택을 상중하로 표현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등등)
→ JS 상이라고 쓴 사람중에 잘 하는사람 없다는데 어떤 질문들을 하시길래 다들 대답을 못한다고 하시는지
답변
기술적 능률은 당연한 요소이기 때문에 제외하면, 면접관마다 취향이 다르지만 상중하는 의미가 없다 생각합니다. (상중하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
큰 포인트는 없지만 이 사람과 커뮤니케이션이 많이 이뤄질 수 있는지를 고려할 것 같습니다. 이 사람과 일하고 싶은지는 질문시 동문서답하지 않고, 커뮤니케이션시 태도나 느낌을 보는 편 같아요
Q1.
이번에 저희 코드 리뷰를 진행하셨는데, 소감이 궁금합니다!!!!!!!!!!!!!!
(나중에 기회되면) 저희가 구현했던거 멘토님이 하시는것도 구경해보고싶어요
답변
생각한 코드리뷰의 형식은 아니었습니다. 다들 잘 작성한 느낌이 있었지만 코드가 크게 다르지 않아 하나의 코드를 리뷰하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인풋보다 아웃풋을 내보는 연습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Q2.
화요일에 모각코하는데 오실 슈ㅜ 이?ㅆ으신지
Q1.
회사 지원시 깃허브 주소를 제출하면 다 확인하나요?
답변
회사마다 다릅니다. 큰 회사(ㅂㅁ, ㅌㅅ)의 경우, 잘 안봤지만 ㄷㄱ의 경우는 예상보다 더 자세히 확인했습니다. 면접관에게 어필하려면 잘 만든 코드를 100여줄을 따로 어필하기를 추천합니다.
Q2. 라이브코딩 주요 포인트 (Simple Todo)
- 프리티어는 파일 내 넣고
gitignore
를 사용하기
early return
을 통해 코드 가독성을 높이기
flag함수
는 개선하는 것이 좋을 것 같음.
- 코드가 중첩되어 depth가 깊어지면 코드 가독성이 떨어짐
- 이벤트 리스너 내 콜백은 함수로 따로 만들면 동작 예측이 쉬워짐
- id는 항상 동일하게 유지해야한다. 혼자 사용하려면
Date.now()
을 추천 - 단, 현업에서는 중복 값이 발생할 수 있어 추천하지 않음. 고유한 식별자가 있다면 해당 식별자를 사용, 인덱스 역시 순서 정보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
- 현업에서는 서버에서 전달해준다. DB의 index는 불변 값. 서버가 없을 경우
uuid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