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인
😮 느낀 점
이번 주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개인적으로 느낀 점을 적어보아요
체오
내가 만든 디자인이 마음에 안 드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
- 각자 맡은 페이지에 대해 와이어프레임을 만들면서 디자인이 정말 어렵다는 걸 한 번 더 느꼈다. 기존에는 UI에 올바른 상태를 반영하는 것에 주로 신경을 썼었는데, 이번에는 프론트 엔지니어로서 좋은 UI와 UX에 대해 잘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회사에 가면 전문 디자이너가 있겠지만, 프론트 엔지니어로서도 UI 디자인에 대한 기본 소양이 필요하다는 걸 느꼈다. 지금 디자인이 별로라는 걸 느낌으로는 아는데 머릿속에 좋은 디자인에 대한 데이터가 없으니 이렇게 저렇게 해봐도 팍 나아지는 느낌이 없었다. 앞으로 좋아 보이는 디자인을 눈에 많이 담고 경험을 많이 하면 지금보다 훨씬 좋아지지 않을까 싶다.
에이비
새롭게 배우는게 많아서 좋다
비동기 처리를 하는 react-query, typescript, recoil, formik, yup 까지 프로젝트에 실제 적용해 보는 것은 처음인데 학습하는 것도 재밌고 무엇보다 내가 예전에 썼던 기술들 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재미있다.
뿡치
어려우면서 재밌다.
기획부터 여러 문서화, 프로젝트 세팅을 한 한주였는데 2번째 하는 거여도 아직 아리송했다. 디자인을 하는 것도 쉽지가 않았고 계속 보다보면 이게 진짜 괜찮은지도 가늠이 가지 않았다. 어떤 디자인이 괜찮은 디자인인지 잘 모르겠다. 팀원들과 여러 문서화, 세팅 등을 함께 할 수 있어서 좋았고, TDD나 문서화하는 것도 많이 배웠다. 개발을 시작할텐데 타입스크립트를 잘 사용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된다. 하지만 어려우면서도 새로이 배우는 것들이 재밌었다.
마크
협업
협업이 매우 어렵다. 클론코딩 프로젝트를 겪고나서 살짝의 노하우(?)가 생겼지만 여전히 어렵다
문서화나 컨벤션 정하는 것이 어려운듯
한조
기획은 어려워
이번 프로젝트 기획이 내 아이디어로 시작해서 어쩌다 보니 PO가 되어 있었다.
사실 처음엔 에이~ 그냥 이름만 붙이는거겠지~ 라고 생각했었는데, 사실 책임감이 필요한 자리였다. 내 머리속에만 있던 아이디어들을 모든 팀원이 동일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도 힘들고, 초기 기획 의도에 맞게 프로젝트 방향성을 바로잡는 것 또한 결단력이 필요했다.
그리고 함께 기획할때도 해야할게 너무나 많았다. 유저스토리, MosCow, UI 설계, ERD 설계, API 설계 등등.. 이 모든 것을 해야하니 생각보다 시간이 매우 많이 들었다.
아 이래서 기획자가 따로 있구나!라는 생각이 드는 한 주였다.
필요한 문서가 생각보다 많다
협업을 위한 문서를 작성하는 시간이 엄청 많이 들었다.
기획 문서는 물론이고 협업 컨벤션을 정하는 것이나 회의록 작성 등등... 매일매일 뭔가 새로운 문서가 생긴다.
물론 나는 문서화를 좋아하고(?) 지금은 어느정도 틀이 다 잡혀서 편-안하지만 한 프로젝트를 맨 땅에서 시작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리
협업 - 기획, 문서화
생각보다 기획, 문서화 단계에서 많은 시간이 들어서 힘들었지만 값진 경험이었다.
유저스토리부터 시작하여 자세한 와이어프레임 설계, ERD, 그리고 API정의까지 하나하나 기획하면서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할때와는 다른 고민들을 해볼 수 있었다. 특히 API를 설계할때 프론트엔드 개발자분들과 서비스 사용자들의 니즈를 고려하면서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점들을 팀원들과 공유할 수 있어서 좋았다.
😇 고난과 성장
이번 주차에 어떤 점이 힘들었고, 또 얼마나 성장했나요?
체오
타입스크립트, 빡센데?
- 타입스크립트에 대한 경험이 거의 전무한 상태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하다 보니 기능은 손쉽게 만들 수 있는데 타입 검사에서 자꾸 오류가 발생해서 애를 먹었다. 일례로, 스타일링 라이브러리에 내장된 타입이 내가 만든 커스텀 타입과 호환되도록 만들어야 했는데 쉽지 않았다. 하지만 집단 지성을 활용하여 우리 팀원과 다른 팀원의 도움을 받아 해결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해결한 내용을 블로그 글로 정리하면서 타입스크립트의 철학도 알게 되고 사용법에 대해서도 처음보다 훨씬 더 많이 알게 되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가장 복병이자 가장 많이 성장할 포인트가 타입스크립트 영역이지 않나 싶다.
에이비
타입스크립트 부시고 싶다
- 타입스크립트가 익숙치 않은 상태에서 리액트와 같이 사용하다 보니 어려웠지만 헷갈리거나 잘 모르는 부분은 팀원들과 힘을 합쳐 같이 해결했다. 처음보단 나아졌지만 어떻게 하면 타입스크립트를 좀 더 타입스크립트 답게 사용할 수 있는지는 더 학습해야 할 것 같다.
- 새로운 기술 적용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이 사라진것 같다. 이전에는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는게 어느정도 부담이 있었지만 막상 해보니 재밌는것 같다.
뿡치
아직 낯선 타입스크립트..
그래도 같은 자바스크립트인데 익숙하지 않다보니 더 어렵게 생각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오류가 나면 심히 불안해진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타입스크립트와 많이 친해지고싶다!
마크
긴 회의의 연속
기획 단계에서 한 번 회의를 시작하면 최소 2시간은 이어졌다. 정말 많은 의견 충돌이 있었다. 그만큼 상대방의 의견을 잘 듣는 방법과 내 의견을 잘 내비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고민할 수 있었던 경험이었다. 그리고 회의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중재자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한조
CI/CD 파이프라인 구축 삽질
최종 프로젝트때 가장 해보고 싶었던 CI/CD를 드디어 해보았다.
하지만... 그 과정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Github Action에 대해서 공부해야 했고, 무중단 배포를 위해 리눅스와 docker-compose, nginx 등을 공부해야 했다.
무중단 배포에 kubernates를 사용해보고 싶었지만 EC2 프리티어 인스턴스의 CPU가 하나뿐인 관계로.... 돌아가지 않아서 포기했다.
가장 어려웠던 것은 환경변수의 관리였는데, 모든 환경변수를 Github secrets로 관리하려다 보니 꽤나 애를 먹었던 것 같다 (배포 쉘 스크립트를 짜는게 너무 빡셌다)
그래도 꽤나 잘 동작하고 개발단계에서 팀원들이 잘 적응해 쾌적한(?) 개발을 할 수 있는 것 같아 뿌듯하다!
제리
Exception Handler & Pagination 구현
다른 팀원 두분은 공부해봤던 내용이라서 Exception Handler나 Page Respons, Request에 대해서는 내가 맡아서 구현했다. 코드자체는 다른 Repo를 참고하여 구현했기 때문에 내용이 비슷하거나 간단했는데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시간이 길었다. 요청이 들어왔을때 어떤 방식으로 예외가 호출되고 처리할 수 있는지, cursor기반 offset기반 페이징이 뭔지 cursor기반으로 구현했을때 필요한 정렬기준이라던가 N+1문제를 처리하는 방법등을 공부하고 구현해볼 수 있었다.
😅 아쉬운 점
자신에게 아쉬웠던 점이 있다면 생각해보고, 다음 주엔 어떻게 극복할지 적어보아요
체오
3D 인터랙션 이번 플젝에서 가능할까?
- 3D 인터랙션을 하면 참 재밌을 것 같다. 우선 순위 기능을 먼저 가져가되, 가능하다면 개인 시간을 할애해서 조금이라도 공부해보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3D 이전에 아직 CSS를 잘 못하는 게 참 아쉽다. CSS만 잘해도 업무 진행 속도가 지금보다 확연히 나아져서 3D 공부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니 CSS 난관에 부딪칠때마다 CSS 제대로 뿌셔보겠다는 마음으로 해보자.
에이비
더 Deep 하게
-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몰랐던 부분이나 새롭게 배운 내용들을 좀 더 깊게 정리를 해야 할 것 같다!
뿡치
더 열심히 하기
git이나 프로젝트 세팅 등 내가 팀원분들에 비해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 같다. 부족하지만 피해는 가지 않게 팀원들에게 많이 물어보고 더 많이 공부하고 열심히 해야겠다.
마크
더 더 잘 할 수 있다
복붙도 다 같은 복붙이 아니다. 파고들어 이해하면 더 좋은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이게 안된다. 시간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므로 프로젝트를 끝내면서 정리해야할 것 같다.
한조
망해버린 나의 패턴
최종 프로젝트엔 나의 밤낮이 바뀐 생활을 다시 돌려놓고자 하는 당찬 의지가 있었지만 개발이 가장 잘되는 시간은 새벽이었고,.,.... 결국 나의 패턴은 바꾸지 못했다.
때문에 오프라인에서 만날때면 자주 지각하고 말았다 ㅜ
제리
기록
공부하고나서 항상 느끼는것이, 공부한 내용에 대해서 직접 사용해보거나 다시 사용해보지 않으면 금방 잊어버린다는 것이다. 시간에 쫓겨서 공부하거나 새로 알게된 내용들을 기록하지 못했는데 빠른 시일 내에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야 겠다.
🍻 협업
😀 좋았던 점
협업하며 이건 좋았다! 하는 걸 적어주세요.
체오
백엔드 팀과의 협업
- 백엔드 팀에서 프론트 팀을 배려해주는 게 정말 많이 느껴진다. 소통에 들어가는 스트레스가 거의 없어서 좋다. 그리고 백엔드 분들이 프로젝트에 매우 열정적으로 임하는 자세에서 특히나 긍정적인 자극을 받는다.
프론트 팀과의 협업
- 새로운 기술 도입에도 모두 적극적이고 내가 하고자 했던 테스팅과 TDD도 열린 마음으로 받아 들여져서 즐겁다. 프론트 팀과의 소통은 재밌다, 유익하다, 따뜻하다.
에이비
백엔드 팀과의 협업
정말 다들 열정맨🔥들이시다. 백엔드 팀 분들끼리도 활발하게 의사소통이 되는 것 같고 프론트 팀과도 바로바로 소통하기 때문에 너무 좋다
프론트 팀과의 협업
- 서로 필요한 것이 있거나 질문이 있을 때 바로바로 편하게 물어볼 수 있어서 너무 좋다. 특히 새로운 기술에 대해 다들 거부감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더 많이 배울 수 있었던 것 같다.
뿡치
백엔드 팀과의 협업
- 모든 분들에게 이 프로젝트를 이번에 열심히 하시고자 하는 의지와 열정이 느껴졌다. 의견도 많이 내주시고 백엔드 팀의 기획인만큼 더 책임감을 가지고 계신 것 같아서 믿음직스럽다.
프론트 팀과의 협업
- 내가 새롭게 배워가는 것들이 많고, 또 그것들을 친절하게 잘 가르쳐주셔서 너무 감사하다.
- 새로운 기술 도입 등 열정이 많으셔서 나도 좋은 기운을 받는다.
마크
프론트 팀과
백엔드에서 고집 아닌 고집을 부려도 프론트 분들이 최대한 반영해주시려 노력하는 것이 느껴진다. 데브 코스하면서 팀 운은 참 좋은 것 같다!
백엔드 팀과
예전 면접에 어떤 동료가 좋을 지 물어봤는데, 자기 의견을 잘 내비치는 동료가 좋다고 대답한 적이 있다. 이건 지금도 변하지 의견인데, 여기서 더 중요한 것은 대화를 잘 이어가는 중재자가 있어야한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백엔드 팀은 기술적인 대화를 길게 이어가는 편인데 이게 너무 길어지면 과하게 시간을 많이 뺐는다. 중재자 필요하다!
한조
프론트 팀과
초기 기획 선택 단계에서 내 기획을 선택해주셔서 너무 감사했다.
돌이켜 생각해보니 백엔드의 편협한 시선을 가지고 너무 고집(?)부린것 같기도 하다... (꾸벅)
기획을 같이 할 때 모두 열정있게 참여해주셔서 가슴이 웅장해졌다.
회의 방향도 잘 잡아주시고, 피드백이 있으면 항상 경청해주시는 자세가 너무 좋았다.
백엔드 팀과
모두가 자신의 생각이 확고해서 토론이 자주 일어나서 좋았다.
물론 맨날 회의시간이 길어져서 빡세긴 했지만 각자의 스타일을 알아갈 수 있는 시간이였던 것 같다.
그리고 어떤 규칙을 세우고 알려주면 다들 잘 따라와줘서 매우 뿌듯했다 ㅎㅎ
제리
프론트 팀과
서로의 의견들을 잘 들어 주시면서 필요한 내용이나 의견들을 적극적으로 말씀해 주셔서 좋았다.
백엔드 팀과
두분 모두 굉장히 열정적이시고 확실하게 각자의 의견을 어필해 주셔서 기획단계에서 많은 도움이 된것 같아서 좋았다.
😅 아쉬운 점
협업에 있어 아쉬웠던 점에 대해 생각해보고, 어떻게 개선할지 적어보아요
체오
- 아직까지는 없다
에이비
- 없다
뿡치
- 없다
마크
환경 설정이 너무 한 사람한테 몰려있나?
한조가 CI/CD나 문서화를 다 했는데 이로 인해 개인 개발 시간이 부족한 것이 보였다. CI/CD는 어쩔 수 없었다 쳐도, 문서화를 내가 했으면 부담이 적었을 것 같다
한조
초반부터 너무 DEEP하다
이번 ERD와 API 설계 단계에서 백엔드 팀원간 열띤 토론을 벌였는데, 이게 너무 깊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각자의 의견 표출이 매우 적극적이여서 나는 좋았지만, 돌이켜 생각해보니 모두가 초반 설계 단계에서 디테일한 코드를 상상하는 버릇(?)이 있었던 것 같다.
이건 애자일하지 못했다고 생각하는데 막상 다 해놓고 보니 매우 견고한 설계가 된 것 같기도 하다. ㅋㅋㅋㅋ
제리
-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