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선정 이유
- reset css
- 하드리셋 vs 노멀라이즈
- 여러가지 선택 기준이 있는데 어떤 것을 왜 선택했는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디자인을 처음부터 하나하나 다 입히기 위해서
- Axios
- emotion
- Recoil
- 러닝 커브 redux에 비해 짧아서 적합하다고 판단
- redux의 boilerplate의 거대화
- Next
- 왜 스토리북을 안썼나요?
- 모바일 환경에 컴포넌트가 적기 때문에 스토리북으로 컴포넌트 관리가 2주기간에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워크플로우 수정
- 와이어 프레임 v2 작성
- 현재 한 사람이 스프린트 단위로 작성하기로 함
- 문서화 작업을 본인 맡은 페이지 별로 하자
⇒ 문제는 그 한 사람이 개발이 늦어짐
공통 컴포넌트
- 글로벌 스타일 관련해서 얘기가 필요할 것 같아요
리셋은 아까 했으니까 넘어가고- 누가 적용해서 깃에 올려놓을 것인지
- 리셋 + 테마까지 하면 좋을 것 같은데 아직 테마가 정해지면 분배
- 폰트는 어떻게 할 것인지 ⇒ 정기님, 승연님 정해주세요
- 저는 pretendard 추천하긴 해요
그리고 Primary Color, Warning Color, 이런 색상 정보 정해야될 것 같습니다.
공통 컴포넌트 중 antd, mui 같은 것을 쓸 것인지 ⇒ 이것을 썼을 때 어떤 이점이 있는지??- 부족한 디자인을 메꿀 수 있음
- 만들기 귀찮은거 가져다가 쓰면 좋을 듯
- 개발이 빨라지지만 디자인을 먼저 시작해서 폐기
- 우선순위를 정해서 개발을 들어가야할 것 같아요
- 제가 생각하는 우선순위는 이번 스프린트 때 하단 네비게이션 바랑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버튼, 인풋, 링크, 드롭다운 버튼, 모달 정도면 될 것 같아요. ⇒ 피그마에서 우선순위 정하기
- 컴포넌트 개발 우선순위
- 입력폼에 필요한 컴포넌트
- Input
- Dropdown
- Textarea
- Button
- Select
- 화면 공통으로 필요한 컴포넌트
- Navigation
- Header
- 모든 예상 가능한 컴포넌트 들을 모아야할지 궁금해요
- 현재 단계에서 예상 가능한 컴포넌트를 모두 해두는 것도 좋다 ⇒ 요거로 확정 해버리죠
아니면 지금 당장 필요로 하는 것들을 정리하고 개발 할 것인지 하면서 문서화 후 구현
- 문서화에 뭘 해야할까..스토리북을 도입하는 대신 간단한 설명? 어떻게 사용할지? 어떤 생각으로 개발할 것인지? Props 요런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