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멘토님에게 질문
김민재
- 204 status code 관련
- 과제를 진행하다가 204(preflight)를 먼저 받고 200 status Code를 받게되서 204코드가 무엇인지 또 해결법이 궁금합니다.
⇒ 답변
- 신경쓰지 않아도 괜찮고, 해결할 것이 따로 없다.
노지원
- 카카오 어떻게 들어갈수있을까요?ㅠㅠ 멘토님은 어떻게 하셨나요? 멘토님의 커리어 히스토리가 궁금합니다
- 데브코스에서 하는 3가지 프로젝트만으로 포트폴리오 충분한지? 아니면 데브코스하면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해야할까요? 지금 데브코스 일정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하다는 느낌인데 걱정입니다 ㅠㅠ
- 본인의 독창성을 살리는 것
- 더 추가로 하는 것이 좋긴하지만 너무 시간이 부족하다면 no
- 기본기가 탄탄한 상태에서 자신이 무엇가 더 하는 것이 좋음
- 기본기가 제일 중요
- 차분하고 성실한 모습
⇒ 답변
백민종
- 멘토님은 CSS를 어떻게 학습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지금까지는 구현에 필요한 스타일만 찾아보면서 학습을 진행했습니다.
- 이번 주차에 CSS를 본격적으로 학습했습니다. 모르는 속성들과 함수에 대해 알게되어 좋았지만, 아직도 모르는 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고 생각이 많아졌습니다.
- 모바일에서는 flex-box가 많이 중요하다. scss도 알기!
⇒ 답변
-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데 면접을 봐도 괜찮을까요? (오프라인)
- 실력테스트를 위해 데브매칭이나 코딩테스트를 진행하면 몇몇 곳에서 면접 제의를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 관심있던 기업이 아니더라도 면접에 참여하는 것이 분명 좋은 경험이 될 것 이라고 생각은 듭니다.
- 데브코스를 진행하면서 학습하는 시간도 부족하다고 느끼는데 시간을 투자하여 면접을 참여하는게 저에게 더 가치있는 행동인지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 첫 면접은 1순위 기업이 아닌게 오히려 좋다.
- 면접 이후로 넘어가면 리스트에 올라가기 때문에 탈락한다면 재지원이 쉽지 않으니까 가고 싶은 회사를 굳이 넣지 않는 것도 괜찮다.
⇒ 답변
- 일요일 출국은 비즈니스 목적으로 가시는건가요? 어디로 가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도 해외 여행 하고싶습니다…
원다연
- 첫 회사를 선택할 때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면 좋을까요? 주변에서 첫 회사는 큰 회사로 가는게 좋다는 말을 많이 들어서 저도 모르게 그런 생각이 들게 된 것 같은데, 선택에 있어서 확신이 들기가 어려웠습니다ㅠㅠ it기업이 아니어도 업무가 프론트엔드 개발 직무가 있다면 가도 괜찮을까요?
- si회사와 it회사에서 개발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 운이 나쁘면 문서작업만 할 수도 있고, 1~2년 하다보면 팀 바꿀 기회를 주긴한다.
- si에서는 프로젝트성으로 하다보니까 그 프로젝트가 끝나면 자기가 안보기 때문에 약간 코드 퀄리티가 떨어질 수 있다. 유지보수를 하지 않아도 되니까
- 이직 생각이 있다면 it기업을 노력해서 가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
- 프론트 개발을 해야겠다면 it기업을 가는 것이 좋을 듯하다.
⇒ 답변
- 팀 멤버 역할
- 공지 리마인드 해주는 사람
- 노션 관리자
- 커피챗 회의록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