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륨이 큰 것 같다. 실제 현업에서도 최소 스펙으로 출시 후, 추후에 기능을 붙인다.
동영상 첨부 라이브러리도 있고, html video 태그가 있어서 프론트에서 구현 가능.
Form 데이터 처리만 해도 난이도가 상당하다. C,U,D 기능에 집중하고 좋아요, 팔로우 추가하는 것이 좋을 듯.
어드민 페이지, 신고기능, 보상기능 → 데모까지는 적합하지 않다, 우리가 만든 기능을 시연하고 체험하는 것이 주 목표, 시간이 부족할것같다
메인기능 하나, 어떤 기능인지 한마디로 정의할 수 있는 기능을 먼저 하고, 다른기능을 하나씩 추가하는 방법 (실제 회사에서도 최소스펙으로 기능을 하나 만들어두고, 확장하는 방식으로 개발 아쉬운부분을 채워나가는 방식)
sns는 기본이 업로드(CRUD)가 메인, 폼임 → 굉장히 많은 시간이 소요될것
- 좋아요 팔로우 넣으면 best
- 대댓글, 댓글 → 최대한 단순하게 가자 원뎁스
- 좋아요도 게시물에 대한 좋아요만
프론트 회의록
멘토 질문
Q1. 4주 동안 1주일에 한 번씩 멘토링, 헬스체크로 개인적인 면담이 있을 예정, 스크럼 시에도 참여하면 좋을 것 같다. 오전 or 오후 3~4시에 비정기적으로 몰래온 손님.
- FE 멘토링 시간 : 목요일 20:00
Q2. 원하는 멘토링 타입?
- 실무 이야기
- 취준 전략 코칭, 블로그 참고하여 인터뷰 가지기
- 코드 리뷰(PR 시)
FE
A. 볼륨 지나치게 크다~
서버에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해 파일 업로더를 구현하려고 하는데 input 태그를 활용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A. input 태그 사용하는 것이 best, 나은 디자인을 위한 라이브러리도 있고 커스터마이징 하기 나름.
현업에서 차트와 같은 시각화를 할 때 어떤 라이브러리가 많이 사용될까요? ⇒ c3.js…
A. 구글신에게 물어보자 .. 라이브러리 점유율 알려주는 웹사이트에서 골라보자. 업데이트가 최근일수록 관리가 되고 있는 라이브러리이니 판단 잘 하자잉.
실제 프로젝트에 바로 적용하기보다, 개인 레포에서 간단히 사용해보고 프로젝트에 적용하자.
라이브러리 남용 괜찮은가?
A. 라이브러리를 무턱대고 사용한 것이 아니라, 본인이 사용하면서 라이브러리 로직 파악 등의 노력이 있었다면 그래도 OK. 직접 미숙하게 구현한 것 보다 라이브러리를 잘 이해하고 소화했다면 Good.
Redux와 Redux toolkit이 실 사용 관점에서 어떤 차이점을 갖는지
A. 현업에서는 최신 기술 도입에 다소 보수적임. 안정적인 Redux가 많이 쓰이고 있을 것이다.
메인 프로젝트에서는 우리 자유니까, Redux toolkit 적용해봐도 괜찮음.
과연 전역상태관리 라이브러리가 필요한지, 고민을 해보자. 큰 프로젝트에서는 전역상태 사용이 리스크가 크다. 리액트에서 context로 대체할 수 있지 않나.
사용 기술에 대한 명분을 잘 찾자! 반문도 해보자
react ui lib + styled component 와 tailwind CSS에 대해서 멘토님의 개인적인 평가(단순 궁금)
A. 라이브러리 쓰는 것이 잘못은 아니다, 명분에 대해서 고민 해봤으면.
라이브러리마다 장단점이 달라서, 순위를 직접 매기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다.
styled-component 정도만 써서 실제로 컴포넌트 CSS 구현해보는 것이 스킬에 도움이 된다.
React App 구현 시 Component를 설계하는 멘토님의 개인적인 Tip…!
A. 컴포넌트 설계는 정답은 없음 ..
컴포넌트의 기능적 관심사에 초점을 맞추고 개발하는 것 : 작은 기능을 가질 수록 재활용이 용이하다.
- 컴포넌트 설계법은 무엇이 있을까..? 방법론..? 지역성, 디자인패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