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BDD(Behavior-Driven-Development)란?요즘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테스트 주도 개발하려고 하다가 좋은 프레임워크를 찾게 되었습니다. Quick/Nimble 이라는 프레임워크였는데요. 여기서 Quick은 BDD 프레임워크라고 소개하더라구요. 그래서 BDD가 뭐고 TDD와는 무엇이 다른지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TDD에서 파생된 개발 방법론으로 개발자와 비개발자간의 협업 과정을 녹여낸 방법이다.사용자의 행위를 작성하고 결과 검증을 진행하며 BDD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함에 따라 설계 역시 행위의 중심이 되는도메인 기반 설계가 된다.https://fomaios.tistory.com/entry/CS-BDDBehavior-Driven-Development%EB%9E%80 📌 아래 영상의 후반부는 코틀린 테스트 라이브러리 소개가 주입니다. 보신다면 위의 블로그 글과 함께 전반부 정도만 보셔도 될듯 싶네요.kotest가 있다면 TDD 묻고 BDD로 가!제목 : kotest가 있다면 TDD 묻고 BDD로 가! 연사 : 이원제 Wade / 카카오 Backend engineer, 강진혁 Harry / 카카오 Backend engineer BDD(Behavior Driven Development)와 TDD(Test Driven Development)를 비교하고 BDD와 TDD를 통해 얻는 장점을 이야기해봅니다. 그리고, 예제를 통해 BDD를 적용하는 법을 살펴보고 이 BDD와 TDD를 kotlin project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kotest와 주변 라이브러리를 소개합니다.https://tv.kakao.com/channel/3693125/cliplink/414004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