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프로젝트 당부
- prettier, eslint 를 필수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airbnb 룰을 사용하는 것을 엄청 추천하지는 않는다. 너무 빡빡한 룰이라서 현재 도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 우리 프로젝트에 맞는 깃 브랜치 전략이 무엇일지 고민해보자.
feature - dev - main를 보통 사용하고 있는데, 우리가 release를 얼마나 자주할까? 라는 생각을 해보자.
머지가 되는 상태는 서버가 죽은 상태는 없어야 한다.
- 문서 정리는 무조건 한 곳에서 하자.
불필요한 커뮤니케이션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다.
- 스크럼은 짧고 간략하게 하자.
그 날 한 일과 다음 날 할 일을 간단하게 최대 10분 컷.
- 회의 목적을 정하고 회의 준비를 각자 미리 해오자.
- 우리팀에서의
MD
를 정하자. 일정은 여유롭게 잡자.
하루에 할 수 있는 업무 시간을
1MD
라고 한다.- PR을 기준으로 서로의 코드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 벡엔드와 의사소통 시 분명하게 말할 필요가 있다.
- 배포는 마감 일보다 적어도 1주 전에 하자.
해본 사람이 빠르게 구축하고 기술을 공유하면 좋을 것 같다.
권고 사항
- 주제는 가볍게 잡아도 괜찮다.
- 프로젝트 주제, 기술, 협업 역할에서 고난과 역경이 있었을텐데,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계속 고려하고 작성하면서 진행하자.
- 각자에게 도전적인 과제는 2개 이하로 하자.
- 각자가 생각하는 키가 되는 기능이 무엇인지 얘기해보고 하나로 맞추자.
- 새로 도입하는 기술은 2개 이하로 하자.
익숙한 기술을 대부분 베이스로 하고, 한 두 개 정도 도입하는 것은 괜찮을 것 같다.
다연 나도 적을게!! 나중에 하ㅂ치자!
오켕~ 너무 잘 적고 있어서 추가할 게 없다 . .
ㅎㅎ
- 회의 준비는 각자 미리 해와서 정할 것만 최대한 짧게 하기
- 1md = 커피 마시는 시간, 커뮤니케이션 시간 등등 다 포함
- 1md === 최소 시간
- 주제는 가볍게!
- 이력서에 쓸 말들을 생각하면서 기획하고 개발해라
- 기술적인 고난과 역경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적어야 한다
- 각자가 맡은 챌린징한 요소는 2개 이상이 되지 않도록
- 기준: 본인에게 도전적인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