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에 의도에 맞게 대답 - 검정
- 의도와 조금 다르거나 부족함 - 노랑
- 대답을 잘 하지 못함 - 빨강
1.정렬
- 54321 배열을 12345로 정렬 할 때 어떤 sort를 사용할 것인가요?
- 스택을 이용한다. →
Very Good
- 병합 정렬과, 삽입정렬이 합쳐진 팀소트를 사용한다.
- 세가지정도 → 병합, 힙 정렬, 삽입, 퀵 정렬
각 알고리즘의 특징에 대하여 정리했다면 더 좋을듯 합니다
- 힙 정렬 → 자료 구조 구현 필요..
- 병합 정렬과 퀵 정렬, 삽입 정렬
의도적 뜸들이기
- random으로 배열된 숫자들이 있을 때 어떤 sort를 사용할 것인가요?
- 병합 정렬, 삽입 정렬, 퀵 정렬, 힙 정렬
- 꼬리 질문: 병합 정렬은 데이터가 많을 경우 처리가 어렵지 않을까?
병합 정렬에 대한 특징을 잘 잡아주셨습니다.
의도적 뜸들이기
- selection sort가 일어나는 과정을 설명해보세요.
- 선택 정렬은 가장 직관적이며 간단하다.
- 한 사이클에 가장 작은 원소를 찾아 맨 앞에 위치, 반복..
good
- O(N**2)의 시간 복잡도
의도적 뜸들이기
- insertion sort가 일어나는 과정을 설명해보세요.
- 앞에서부터 원소를 차례대로 비교?
- 내부적으로 최적화를 진행할 경우 빠를 수 있다.
- 약간 핀트에 벗어난 느낌
의도적 뜸들이기
- bubble sort가 일어나는 과정을 설명해보세요.
- 바로 옆 원소와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앞에 위치
good
- 버블 소트 최적화 방법? or 버블 소트가 최선의 시간 복잡도를 갖는지
- 데이터가 정렬 되어 있을 때
- 두 번째 루프 가기전에 분기 처리를 한다.
- o(n**2)을 사용한다면 어떤 알고리즘?
- 구현 난이도가 낮은 선택 정렬
- 거품 또는 삽입 정렬을 사용한다던지 할 것 같다.
의도적 뜸들이기
- 합병 정렬과 퀵 정렬의 가장 큰 차이점?
- 합병: 무조건 두 부분
- 퀵: 피벗을 기준
렌더링
- 브라우저 검색창에 url을 검색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 html 파일 요청, 브라우저는 이를 해석해서 렌더링한다
- IP 주소가 아닌 MAC 주소로 통신하는 이유?
- 이 부분은 준비를 잘 못했습니다.
IP주소만으로는 실제 서버 위치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정의에 대한 설명이 나오면 좋을듯
- Reflow와 Repaint
- 같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자바 스크립트 코드나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DOM의 변화가 일어나면 크기를 계산하는데 이 과정을 reflow라고한다.
- dom을 다시 그리는 과정을 repaint
- reflow는 repaint와 함께 일어나는 과정인가?
- 그렇진 않다.
good
- script 태그를 가장 하단에 삽입하는 이유
- dom 구축이 중단된다. 렌더링이 된 이후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하도록 가장 아래쪽에 배치한다.
전체적인 피드백
직관성 - 무슨 말을 하려는지 빠르게 이해(good), 말하려는 바를 꼬리질문을 통해 이해 (bad)
구체성 - 묻는 개념에 대해 자세하게 이야기(good), 묻는 개념의 일부만을 이야기함 (bad)
정확성 - 올바른 개념에 대해 이야기 (good), 잘못된 정보, 여러 개념을 혼합하여 이야기함 (bad)
태도 및 자세 - 말하는 속도, 강약조절, 자신감, 몸짓의 변화가 적절하다 (good)
- 모르는 질문이 나왔을 때 장황하게 대답하는 부분이 살짝 아쉬웠습니다.
- 구체성: 일부러 답변을 피해가고자 다른 쪽으로 답변을 하신 부분이 있었습니다.
- 전략도 리스크가 있다. 면접관 케바케
- 장황함 어떠셨나요?
- 모르는 부분은 그렇지만, 아는 부분은 괜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