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프로젝트 애정이 많은데, 개선시킨 부분이 있다면?
- 시간으로 인해 원하는 방향을 진행하지 못했다. 기능추가를 위한 새로운 컨벤션 기반을 만들었다.
- 필요없는 부분을 정리
- Q. 그 중에서 어떤 고민, 환경적인 부분을 집중했던 이유는?
- 시간으로 인해 재사용성이 부족했고, 새로운 기능 추가를 위한 첫 단게라고 생각했다.
장황했다 ㅠㅠ
- Q. 재사용성이 안되는게 나쁜건가?
- 같은 기능을 구현을 함에 있어서, 반복되는 코드가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장황했다 ㅠㅠ
- Q. 준혁님만의 재사용성을 위한 방법
- Util함수로 분리, React에서의 무한스크롤을 위해 intersection Observer를 hook으로 구현
- Q. 컴포넌트에서의 재사용방법
- 재사용할 수 있을만큼 작게 쪼개어 본다.
- 다양한 곳에서 … ?
장황했다 ㅠㅠ
- Q. CheQuiz 환경으로 다시 돌아간다면, 어떤 방법을 선택했을까
- 그 당시에서는 최선의 방법이었다고 생각.
- 기능 구현 자체가 1순위이기 때문에
- 우리맵의 Next.js 사용이유
- 기존 서비스에 적합했다.
장황
- 이전 프로젝트와 다른 프레임워크에 도전해보자라는 마음
- 프레임워크(next.js)는 주어진 틀에 끼워넣게하는 것과 같다.
- Q. CRA의 babel, env 값 설정을 위한 기능들이 내재되어 있는데, 그럼 CRA도 프레임워크인가?
- ……프레임워크랑 거리가 멀다. …
맥락이 다른 느낌
Q. Next.js와 CRA와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 블로그 서비스 어떻게 만들 것 인지
- 검색 로직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가가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
- SSR에서 템플릿을 만들어, 검색엔진의 처리에 장점
- SSR, Static…. ,…의 차이를 알고 계신지?
- 잘모르겠다.
- Q. 아시는 부분에 대해서만 말해주세요.
- SSR은 서버에서 템플릿을 만들고, 데이터페칭 이후에 client로 내려주는 방식
- React18에서의 SSR과 Next.js의 SSR의 차이는 아시나요?
- SEO를 챙기기 위해서 어떤 것들을 할 수 있을지
- meta태그를 활용
- Q. 그 외에 챙길 수 있는 방안이 있을지
- react로 개발 시 perfomance 이슈 발생 시 점검 절차
- 내가 한 프로젝트들은 작아서, 퍼포먼스 이슈 발생하지 않았다.
매우 위험한 발언인듯
- righthouse를 통해 지표를 측정하고, 개선을 시도해볼 수 있을 것 같다.
- 바벨과 웹팩 관련, jsx가 html로 변환될 수 있는 이유 및 방법은?
- s…못들었다.
- Q. CSS를 import하는 경우, js임에도 불구하고 코드가 동작하는 이유는?
- babel-loader, css-loader들을 통해서 변환 후 번들링
- 타입스크립트를 동작하기 위해서 진행한 절차
- babel을 그대로 사용
- Q. babel을 사용한 이유는?
- 큰 이유는 없지만, ts-loader와 비교해서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babel-loader를 사용
- 준혁님이 최상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 환경은 무엇일까?
- 개발환경적인 부분? 팀적인 부분?
- 팀원간의 존중하는 문화 ⇒ 자유로운 의견의 제시와 수용
- 준혁님이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 아니요
피드백
- 전반적으로 조리있게 대답했다.
- 합리적인 부분에 대해서 말을 했다고 생각
- 가장 큰 포인트는 ,가장 최근 프로젝트, next.js 과연 알고 계신지 의문이 들었고 아주 많이 아쉬웠다.
- 중요하다고 선택했지만, 왜 중요했는지는 대답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