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시
1차 스프린트 회고(중간발표 필수) - 20분
2차 기능 명세 - 40분 하고
중간발표 준비 1시간 ~ 7시까지
시간 남으면 개발 관련 회의 또는 자유시간
1차 스프린트 회고 또는 피드백
- 스크럼 진행 방식
오프닝(10분)
나쁘지 않은 듯.
간단하게 진행상황만 공유하고 더 자세한 사항은 따로 스터디방에서 얘기하는 등…
클로징(30분)
시간 및 형식 지금 그대로 가도 될 것 같다.
- 깃 관련
- 이슈
- pr
- 리뷰
- 커멘트
예상 소요시간을 같이 적는 것은?
리팩터 이슈 필요 - 상기님
이슈 단위 크기의 차이
이슈가 크면 리뷰하기가 힘들 수 있다.
좀 더 작게 자르면 디테일하게 리뷰해드릴 수 있지 않을까.
페이지 단위 1개
그 안에 쓰으닌 컴포넌트 2개 정도..?
pr이 머지되기까지 시간이 다소 걸린다. 붕 뜨는 경향.
긴급, 보통을 확실히 구분해서 긴급이면 일정 시간 내로 반드시 팀원이 리뷰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보통은 하루 내라던가.
긴급의 정의? → pr양이 적어야 할 것. 양이 많으면 리뷰하기도 힘들다.
코어타임 내 긴급 : 바로 현재 코어타임 중인 팀원과 1-2시간 내로 리뷰
코어타임 외 긴급 : 들어와있는 사람 또는 다음 코어타임 이전까지 리뷰되어 있을 것.
리뷰 템플릿은 많이 안 쓰고 있었음 → 씁시다.
살짝 늦는 감 → 긴급 라벨, 보통 라벨 잘 활용되야 할 것 같네요.
메인 작업, 서브 작업.
- 개발 과정
pr,리뷰,머지 → 라벨링, 서로 합의(긴급은 자기거 하나다고 호다닥 달려가서 리뷰해줄 것)
api 나머지
- 라벨링
- 코인 카운팅
- 댓글
- 좋아요
기능 명세 ( 페이지 / 컴포넌트 / 기능 / 핸들러 / 함수 및 api콜 )
searchPagerankPageLogin/RegisterPagecardDetailPagemainPage기간: 2-3일 (아마 금요일까지?)
페이지 남은거 : 따봉페이지, (스플래시), 프로필, 프로필수정, 알람
리덕스, api
화요일에 배포 준비하고
수요일에 문서쓰고
(ㅋㅋ)
중간발표
- 기획
기획서 이미 써놔서.. 이것만 다시한번 보면 될듯한데요?
- 스팩
기능 명세서
기술스택..?
- 와이어프레임
피그마 보여주면 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