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정보

대략적인 구성
- 저는 자유로운 스터디를 추구해요
- 그래서 참여는 자율로 하고 싶어요 ( ex 캘린더 일정에 잡혀있지만 일이 있다면 불참 가능!)
- 오후 7시~8시정도로 생각하고 있어요
- 줌 또는 오프라인으로 공부한 내용 중 몰랐던 것, 공유하고 싶은 것, 모르는 것을 공유해요
- 주 1회 혹은 2회로 생각 중이에요
일시
1주에 1번 오후 7~8시(+@)범위
스터디 마치고 다음 범위 정하기- 범위같은 경우 챕터 난이도에 따라 공부범위가 유연했으면 좋겠어요. 몇장, 몇페이지를 정하기보다 스케줄 보면서 매주 범위를 정해도 좋을 것 같아요.
스터디 참여원이 4명 이상인 날에는 2팀으로 나눠서 진행하면 좋겠어요. 자기가 공부한 걸 직접 말해보는 게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스터디 시간이 길어질 걸 우려해 발표내용을 줄이는 일을 방지하고 싶어요.
- 1-2명으로 나누는 것보다 4-5명의 인원이 책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저자의 의도를 해석하고 같이 이야기하면서 어떤 걸 가져가야 할지 생각해봐요!
아이디어
- 노션 페이지를 만들어서, 공부한 내용을 요약한 자료를 모아서 요약집을 만들어보면 어떨까요?
- 여러 의견을 듣지 못해 아쉬움. → 발표 자료를 공유하거나 짧게 요약해서 스레드에 남기는 방식으로 개선
목표
⭐- 4장까지 스터디 완료
- 책 p.11 상단 발췌
리팩터링을 실습하고 싶다면 1장부터 4장까지는 꼼꼼히 읽고, 나머지를 빠르게 훑어보자. 카탈로그는 필요할 때 찾아보자. 한 번에 이어서 읽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 6주 완성 (버프기간 1주)
첫 스터디 일정
⭐- 무슨 요일? → 화요일!
- 스터디 범위 1장
- 많지 않은가? → 코드를 옮겨놓은 부분이 많고 직접 타이핑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함.
- → 저는 코드를 타이핑 해봐야 하지 않나 생각했어요 ㅋㅋㅋ - sean
- 18일로 조정하였습니다…ㅎㅎ - meta
- 한빛미디어 리팩터링 깃허브 레포
- 코드 레포 (친절하지 않음)
- 어떤 분이 진행하신 스터디 영상도 있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