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짜 : 8/22
😎 강사님: 한샘 신희송님
🔗 강의시간 : 120분
특강 후 느낀 점
나를 제대로 보여주는 면접법

- 가장 중요한 것은 ‘나의 실력' 을 보여주는 것
- 실력이란?
- 면접이 애매할 때, 면접관이 판단하는 기준
- 팀에 데려가고 싶은가요?
- yes라면 보통 채용, no 라면 거절

[면접은 무엇을 검증하는가]
자기소개
,지원동기
,!** 역량 **!
,프로젝트 경험(성공과 실패)
,문제해결 능력
,나의 장단점
,꾸준한 성장을 위한 노력
,진실성
,협업능력
,성장가능성
[자기소개]
- 나만의 키워드는?
- 어떠한 이미지를 남기고 싶은지
- ex) 열정, 잠재력, 빠른 성장, 리더쉽
- 그동안 어떻게 준비해왔고, 노력하는지
- 어떤 사람으로 성장하고 싶은지
- 단, 준비한 티가 많이 나면, 어색하고 오히려 정이 안간다.
- 대학 전공으로 시간과 돈이 아깝지 않나요?
- ⭐️ 부정적인 것을 긍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 능력 필요
- 교육학도 문제를 해결하고 전달하는 것, 개발도 다르지 않다.
- 나를 알아가는 시간이었기에 충분히 가치가 있는 시간
[우리회사에 지원한 이유]
⭐️ 지원동기는 ‘나' 중심 이아니라, 회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 ✅ 자기소개와 지원동기를 연결하는 것이 좋다.
- 나는 ~~한 사람이고, ~~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이 회사의 ~~ 부분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회사는 학교가 아니다.
- 배우겠다는 태도는 좋지만, 배우려고 지원한 것이랑은 다르다.
- 성장할 수 있는 회사
좋게 들리지만 회사입장에서 전혀 좋지않음
- 기업문화, 블로그를 통해서 내가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느꼈다.
‘나 중심’의 이유라서 위험하다.
- 😀 나의 답변
- 크게 2가지 이유가 있다.
- 첫번째는, 서비스 도메인인데, 내가 재미있게 개발할 수 있는 것, 서비스 자체에 기여하고 눈에 보일 때 큰 성취감과 동기를 얻는다.
- 두번째는,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위험판정
- 🔥 모범 답변 생각해보기
- “내가 가는 길과 회사가 지향하는 것이 비슷”하다고 느낄 수 있게 말하기
[기본기 질문 - HTTP의 method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해주세요.]
- ✅ 기본기에 대한 질문으로, 정확하게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 ✅ 나의 경험을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본기 질문 - 디자인 패턴 3가지를 말해주세요]
- Container / Presentatinal 패턴
- Hooks 패턴
- MVC/ Flux 패턴
주의
- 기본기에 관한 질문은 ~~라고 알고 있습니다. 라고 하면 자신감이 굉장히 부족해보인다. 누가 봐도 어려운 질문이 아니라면, 확실하게 ~~ 입니다. 라고 말하기
[기본기 질문 - 함수의 종류는? CORS란 무엇인가]
[포트폴리오]
- ✅ 기술의 경우, 왜 해당 기술 선택했고, 대안은 무엇이 있었는지
- 장단점
- ✅ 포트폴리오/이력서 에 올라간 것은 반드시 내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 사용경험은 장점이 되지 못한다.
- 사용후의 나의 느낀점. 좋았던 점, 어려웠던 점 …
- ‘예시가 있고 없고’가 신뢰도의 결정적인 차이를 만든다.
[서술어 사용 중요하다.]
- ~입니다.
- ~라고 생각합니다.
- ~인 것 같습니다.
- ✅ 알고 모르는 경계를 찾고, 아는 것을 확실히 말하고, 모르는 부분은 모른다고 말하는 것이 중요.
- ~라고 들었습니다.
최악
- ~라고 알고 있습니다. ~라고 들었습니다.
최악
[가장 성공한 프로젝트는? 고민을 가장 많이했던 개발은 무엇인가?]
[나로 인해 발생한 가장 큰 장애나 버그는 무엇인가?]
- 실패를 통해 배우는가?
- 재실패를 막기 위해 어떻게 하는가?
- 원인을 찾고, 해결 방법을 세우기 위한 기회를 여는 것 자체가 중요!
[나와 회사는 1대1의 대등한 관계]
- ‘나를 못 뽑으면, 회사가 손해지’ 라는 마인드를 내재화 시킨다.
- 경험을 위주로 말하려고 하면, 편하다
- 여행가이드만 외운 사람 vs 하루라도 여행 갔다 온 사람
- 여행 경험을 말하듯이 면접보기
[면접 태도]
- 답변은 “진중”해야 한다.
- “긍정적인 에너지”를 내야한다.
[면접 준비]
직무역량 주제별
,경력사항
,프로젝트 경험
,성과
,리더십

[추천도서]
-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내 목표]
- 초보자 → 중급자 가 되기 위한 도서를 만들고 싶다.
- 면접 질문과 실제 할 수 있는 고민과 답을 기반으로
- ex)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질문]

- Q. 서비스 도메인 얼마나 중요할까?
- A. 신입은 도메인 보다, 기술이 조금 더 중요하다.
- Q. 좋은 스타트업의 기준은?
- A. 현재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인가
- A. 투자금을 많이 확보한 회사인가
요즘 매우중요!!
- Q. 첫 회사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