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표 설정
1.1 🔥개인 목표 설정
안재관
프로젝트 경험을 쌓고 완성도 있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 싶습니다.
유지영
프로젝트 경험을 쌓고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에 익숙해 지는것이 목표 입니다.
조예지
React, Typescript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익숙해 지는것이 목표이며, 앞으로 만들게 될 프로젝트 서비스의 기본 요구사항을 완성도 있게 구현하고 싶습니다.
박민형
지금까지 공부한 기술들을 토대로 컴포넌트를 관리하고, 렌더링과 성능 최적화 등을 직접 해보고 싶습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 서비스를 이해해보고 협업 경험을 쌓고 싶습니다.
우대현
전반적인 프로젝트 과정을 경험하고 이해하며 그 동안 공부한 내용들을 토대로 완성도 있는 기능들을 구현하고 나아가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 싶습니다.
1.2 ✨팀 목표 설정
“프로젝트 경험을 쌓고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숙련도를 올리며 완성도 있는 서비스를 만들자!!!!”
2. 협업 툴 정하기
- 개인 회고: Notion
- 코드 관리: Github
- 공지 및 기타 내용 공유: Slack
- 스크럼: Discord
- 디자인: Figma
- 그 외 간단하게 공유할 내용: Figjam
3. FE 개발 및 협업 경험 공유
안재관
프로젝트 경험은 이번이 처음이며 아직 스스로 미숙하다고 생각합니다. 데브코스 강의 중 회원가입이나 로그인 강의를 들으면서
‘익숙해 지는데 시간이 조금 더 걸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유지영
프로젝트 경험은 이번이 처음이고 간단한 CRUD 정도 구현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조예지
기본적인 기능들은 구현할 수 있으며 만들고 싶은 서비스는 만들어 낼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어진 역할을 어떻게든 수행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박민형
기본적인 기능들만 구현할 수 있는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styled-components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슬라이드, 무한 스크롤과 같은 기능은 라이브러리나 다른 사람의 소스코드를 참고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API로 데이터를 받아와 렌더링하는 것까지 참여한 프로젝트 경험이 있습니다. 전역 상태 관리와 관련해서 Recoil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대현
프로젝트 경험은 이번이 처음이며 아직 많이 미숙한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아주 기본적인 컴포넌트들을 구현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3. 기술 스택 선정
3.1 ⭐️사용하고 싶은 개인별 기술 스택
안재관
- 언어: JS, TS
- 라이브러리: React && React Router
- 디자인: Styled components || emotion
- 포메터: ESLint && Prettier
- 통신: Axios || (Apollo + GraphQL)
- 상태 관리: Context API && useReducer
- 컴포넌트 관리: storybook
- 패키지: npm || yarn
- 배포: netlify || vite
- API testing: insomnia || postman (경험해 보고 싶음)
유지영
- 언어: JS, TS
- 라이브러리: React && React Router
- 디자인: Styled components
- 포메터: ESLint && Prettier
- 통신: Axios
- 상태 관리: Context API
- 컴포넌트 관리: storybook
- 패키지: npm
- 배포: netlify || vite || firebase
조예지
- 언어: JS, TS
- 디자인: styled components
- 상태 관리: 고민 중..
박민형
- 언어: JS, TS
- 라이브러리: React && React Query && React-Hook-Form(Form 작업이 많은 경우)
- 디자인: Styled components
- 포메터: Prettier
- 통신: Axios
- 상태 관리: Context API && useReducer || Recoil
- 컴포넌트 관리: storybook
- 패키지: npm
우대현
- 언어: JS, TS
- 라이브러리: React && React Router
- 디자인: Styled components || emotion
- 포메터: ESLint && Prettier
- 통신: Axios
- 상태 관리: Context API
- 패키지: npm || yarn
3.2 🌟1차적으로 선정한 우리 팀 기술 스택
const 기술스택 = { 언어: ['react','typeScript'], 라이브러리: ['reactRouter'], 디자인: ['styledComponents'] // 아직 고민 중.. ( styled-components vs emotion ) 포메터: ['eslint', 'prettier'] 통신: ['axios'] 상태관리: null, //아직 고민 중.. 패키지: null. // 아직 고민 중.. ( yarn vs npm) 배포: null, // 아직 고민 중.. }
4. 역할 분담
4.1 역할 목록
- PM: 일정 관리 및 발표 자료 준비 등
- 디자인 관리: 회의 내용을 토대로 와이어프레임 제작(2-3장)
- Github 관리: 소스코드, 코드 리뷰, 브랜치 관리등 전체적인 코드 관리(PR 템플릿 자동화 설정 등)
- 문서화: README, 개발 문서, 회의 내용 정리
- 프로젝트 초기 세팅: 번들러 및 트랜스파일러, 폴더 구조, ESLint 및 Prettier 설정 등
4.2 역할 선정
- PM: 안재관
- 디자인 관리: 유지영
- Github 관리: 박민형
- 문서화: 우대현
- 프로젝트 초기 세팅: 조예지
5. 기타 사항 회의 내용
“어떤 기술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고 사용하는게 중요한 것 같다. 무분별한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by YEJIJO 의 말에 모두 공감하여 내일 오프라인으로 만나기 전까지 기술 스택에 대해 알아보기로 했음.
5.1 내일까지 고민해 볼 내용
- yarn과 npm 차이
- emotion과 styled-components 차이
- React Query, React Hook Form 알아보기
5.2 내일 오프라인 때 밥 언제??
-우선 공식적으로는 금요일 점심먹기
-비공식적으로는 적당한 음주 후 귀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