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
- UI 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
React
- 전역 상태 관리:
ContextAPI
- 스타일링 - [npm 트렌드 비교]:
emotion
- 패턴에 대해서 - [리액트 컴포넌트 설계]
container and presentational component
- 제가 기억하는 장점: 댄 아브라모브(Dan Abramov)라는 리덕스 창시자가 권장했던 패턴이에유.
- 제가 기억하는 단점: container라는 리덕스 관리 부분과 순수 뷰를 관장하는 presentational component를 분리하기 때문에 작성할 게 굉장히 많아졌던 걸로 기억.
atomic design
- 제가 기억하는 장점: 써본 적은 없어서 제대로 답변을 못할 거 같아요. 그렇지만, a에 비해서 굉장히 직관적이었던 거 같아요. 특정 단위에 따라서 애들을 쪼개고, 재사용한다는 게 좀 더 철학(?)적으로 와닿았던 거 같아요.
- 제가 기억하는 단점: 써봐서 모르겠지만, 이 글이 꽤나 잘 작성된 거 같아요. 맞습니다. 팀적으로 합의가 잘 안된다면, 매우 애매한 패턴이 될 수 있어요.
- ...
- 테스팅 - 자료 준비 ⇒ 민철
- 언제 테스트를 짤 것인가
- ex. 3일전
- E2E (End To End)
- cypress
- 유동식님 특강
- 유닛 테스트(unit test) /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
- CI/CD
- 문서화!!
- storybook
- swagger API → 재영 서칭
- 다른 기술블로그에서 참조할 만한 문서 찾아보기
- 코딩 컨벤션
- 린트 & 포매팅 규칙
- airbnb → eslint > prettier
- CI / CD 자동화 툴 보류
- Jenkins
- GitHub Actions
- Git 브랜치 전략
- git flow - [참고 문서]
- github flow
SNS 테마 정하기 - 모각코 + 인증타임 (위치기반)
- 같은 영역 내에 있는 사람끼리 코딩을 하면서 "인증스레드 타임"을 가져서 올리는 SNS
- 간결하다. 명확함!
- 프롱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 자기 화면 캡쳐해줘서 인증! → 앱쪽으로도 호환이 가능하면 시너지가 날 듯
팀장 정하기 (15일 오전 10시까지)
팀장 역할
- 일정 공유
- 리아님과 대화?
팀잠 선정
- 돌아가면서 해도 됨 (기존 달리팀 스크럼 팀장 순서?)
협업툴
- github wiki & project
- 코드와 프로젝트 기획의 진행이 함께 동기화된다
- 멘토님께 사용법 아시는지 물어보기
프로젝트 진행 방법
- 스크럼
- 프로세스 공유 (각자 맡은 개발 진행상황)
- TIL 공유 (각자 진행하면서 알게 된 것, 사용하고 있는 꿀팁 등등 공유)
- 트러블슈팅 공유 (겪고 있는 어려움을 공유하여 함께 논의 & 작업은 다 하고 하는 것으로 시간 조정)
- 문서화
- 프로젝트를 하면서 얻은 지식 (짧게라도) 작성하기
- 회고
- 주차별 회고
- 마일스톤 정하기 - [freecodecamp - 좋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문서 쓰는 법]
Minimum Valuable Product 1주차: MVP 2주차: - 3일: 컴포넌트 - 3일: 에러 처리 + 리팩토링 + 업데이트 + 기타 유지 보수 대략 D-1: 총 점검 D+2일: 테스트 코드 Start Date: June 7, 2018 Milestone 1 — New system MVP running in dark-mode: June 28, 2018 Milestone 2 - Retire old system: July 4th, 2018 End Date: Add feature X, Y, Z to new system: July 14th, 2018 ex. 10.29 개발 끝내고 남은 기간 테스트
컨벤션 관련
직접 개발 환경 세팅 vs CRA
- 직접 개발 환경 세팅
- 웹팩 번들러 사용
린터, 포맷터
ESLint
:airbnb
rule 사용
Prettier
: 사용함.
stylelint
:- css할 때 순서라던지
- css할 때 규칙 → ESLint
전역 상태
ContextAPI
CSS in JS
e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