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ck데이터를 사용해볼 수 있는 msw를 써보자.
- 타입스크립트, Next 써보자! ⇒ Next.js 공식문서에 learned에서 공부해보자~
- 마이그레이션은 쉽지 않다. 차라리 처음부터 기술을 도입해보자
- 프로젝트 기간을 길게 가져가자
- 시간이없다. 써보면 알게된다. 타입스크립트 개념을 다 몰라도 일단 시작하자! 어차피 해도 모른다ㅋㅋㅋ 유명한 라이브러리를 추적해가며 배우면 된다. 에러를 그냥 넘기지 말자. 추론을 잘 활용하자! 결국 빨리 시작하는 게 가장 빨리 배우는 법이다.
- Context api -> redux → react-query, swr 서버 상태와 클라이언트 상태를 구분하자
- Lint를 사용하자. 너무 많은 룰을 정하거나 프로세스를 이원화하지 말자 중요한건 룰이 아니라 결과물이다. 룰을 적용하고 싶으면 자동화하거나 툴로 강제해라. ⇒ 백엔드 api 나오기 전에 lint 세팅해보자. husky, commitlint, ….?
- Optional chaining을 하지않고도 타입적으로 데이터를 보장하는 방법을 고민해보자
유니온 타입

- 될거같은 파일럿 프로젝트를 기획해라. 그래서 될거 같은 아이디어가 중요하다. 될 거 같은 아이디어는 팀원이 남아있게하는 동기다.
- as const는 readonly화 하는 단언문
- 타입 정의를 확인해보자!
- css in js ⇒ 3회이상 중복되는 스타일들은 common으로 추상화해보기
- stylelint
- chakra UI와 framer motion
- layout ⇒ flex, grid, …
- <Box as={motion.div} initial={{scale: 0}} animate={{ scale: 1 }} whileHover={{scale: 1.2}} whileTap={{scale: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