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ssToken
을 저장 방식 중에 비공개 변수로 저장하는 방식이 있던데 이건zustand
상태로 관리하면 될까요?- 비공개 변수는 고려대상이 아님
- 같은 방식으로 토큰을 관리하는 것이 유지보수가 편함
- 쿠키로 관리하려하면 옵션들이 추가되고 공을 들여야 하는데 지금 단계에서 추천하지 않음
- 일반적으로 로컬스토리지 or 세션스토리지에 accessToken 과 refreshToken을 저장하고 만료시에 Axios interceptor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 이전 서비스에서는 프론트엔드는 Vercel에 백엔드는 AWS EC2에 배포를 하고 통신을 주고 받았었는데 프론트엔드도 AWS 배포가 가능하고 Nginx같은 정적파일을 호스팅과 리버스 프록시등을 지원해주는 웹서버를 알게 되었습니다! 좀 더 찾아봤어야했는데 Vercel에 비해서 Aws 배포가 가지는 이점이 궁금하고, 요즘 많이 쓰이는 배포 방식 + 저희 서비스 규모에 맞는 배포 방식이 궁금합니다..! (편집됨)
- NginX를 쓸 이유가 딱히 없어보임(서버의 게이트웨이 역할) → 고려대상이 아님
- AWS가 기능이 더 많고 현업에서 무조건 쓰이는 방식인데 여기에 들이는 시간이 꽤 있어서 비추천 → 어차피 나중에 주구장창 해야함
- Vercel 추천
- 로지텍 버티컬 마우스, 해피해킹, 허먼밀러(무조건 풀펑션)
-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특강(보안상 못 말함)
- 재테크 공부 꼭하기(솔로 + 자녀 없을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