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 프로젝트 기간에 좋았던 것들을 적어주세요.
- 최초 기획한 기능의 대부분을 구현했다. 처음하는 프로젝트다 보니 기획단계에서 너무 시간을 쏟은 것이 아닐까하는 걱정이 프로젝트 기간내내 있었으나 다행히도 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 계획한 기능을 대부분 구현했다.
- 두 번의 발표를 통해 기획단계에서 들어가야할 사항들에 대해 알게되었다. 중간발표와 최종발표를 통해 우리가 제작한 서비스를 선보이는 과정에서 이 서비스가 필요한 이유, 즉 사용자의 니즈가 어떤것인지를 파악하고 서비스화하는 것이 기획단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느꼈다.
- 리액트랑 안면을 텄다. 리액트 강의를 다 듣지는 못하고 시작했기에 초반에 emotion와 storybook 사용법이나 리액트의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 어려움을 겪었던 적이 많았으나 프로젝트가 진행될수록 리액트와 안면을 트게되었다.
Bad
- 프로젝트 기간에 아쉬웠던 것들을 적어주세요!
- 프로젝트 기록을 남기는 것에 소홀했다. 정말 많은 얘기와 의견을 나누었는데 그런 것들을 한줄씩이나마 적어두었더라면 꾸준함의 지표가 되었을텐데 그런 기록을 남기지 못헀다는 것이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팀원들과 소통을 정말 많이 했다. 나누었던 주제가 정말 많고 다양했는데 그것들을 기록으로 다 남기지 못했던 것 같아서 아쉬운 부분이다.
- 체력관리 살인적인 일정에 수면부족과 카페인으로 버티다보니 프로젝트 종료일이 다가올 즈음에는 많이 예민해져있었다. 단기간의 프로젝트이기에 어쩔수 없는 면이 강했지만 쉴 수 있는 타이밍이 있었음에도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한 부분이 나중에 큰 빚으로 찾아오게되었다.
- 개발 우선순위 시간적인 압박이 심한 프로젝트에서 하나의 기능(grid...tab....)에 매몰되어있어서 다른 기능을 구현이 미뤄지면 팀 전체적으로 정체 구간이 생기고 일정에 차질이 생길수 있다. 우선적으로 기능을 하게 해두고 리팩토링을 하더라도 어느정도 리듬감있는 개발이 필요한것 같다.
- 개발 편식 처음보는 기능이나 라이브러리 같은 것에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고 그렇기에 익숙했던것들만 하려했던것 같다. 일종의 개발에 대한 편식이 있었다
[KPT 회고란]
Keep
- 좋았던 점 중에서 다음에도 유지하고 싶은 것들을 적어주세요.
- 고정적인 코드리뷰 시간을 1시간정도 두는 것은 생각보다 더 많은 도움이 되었다.
- 비대면상황에서는 웬만하면 캠을 키고있는 것이 좋은 것 같다. 바로바로 질문이나 의논을 할수 있고 팀원간의 유대감과 결합력도 높아지는 것 같다.
- 이슈기반으로 브랜치를 만들어서 기능개발하는 것이 명확한 단계와 현재 개발 단계를 알수 있었기에 좋았다.
Problem
- 아쉬웠던 점에서 실제로 문제로 발생했던 것들을 적어주세요.
- 디자인 시스템의 부재 → 사실 어쩔수 없었음
- git project가 약간 애매하다고 느껴졌다. 다른 project 관리 도구는 어떨까
- UI Flow의 부재 → 예견치 못한 UI 흐름을 마주했을떄 생기는 오류에 대해 대비가 어려움
- 팀원간의 업무 분담 → 우리팀은 특수케이스라 다들 맡아서 하려고하기도 하고 도와주기도하고 했지만 모든 사람이 그렇다는 보장을 할수가 없기에 업무분담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나 혹은 문화적으로 해결할수 있는 방안들이 있지 않을까?
Try
- Keep 사항 중에서 한단계 더 발전하기 위해 시도해볼 것들을 적어주세요.
- Problem 사항 중에서 문제를 예방하기위해 시도해 볼 것들을 적어주세요.
- 기획단계를 명확하게 세부스텝을 설정하자. 명확한 타켓층과 니즈를 바탕으로한 프로젝트 주제가 결정되면 그것을 바탕으로 주요기능, 기술스택, 디자인, 색상, 로고와 와이어프레임이 명확하게 나오기에 그러한 세부스텝을 정해두면 좋을 것 같다.
- 고정적인 코드리뷰 시간을 가지되 그때만 코드리뷰가 일어나는 현상을 최소해야한다.
- JIRA를 써보면 어떨까?? git project는 써봤으니까...
- 디자인시스템의 대략적인 스케치는 해두자. breakpoint 별로 좌우 마진 값이라던가. grid column system이라던가
- UI FLow를 웬만하면 만들어두자. 여러모로 장점이 많다. 업무분담을 flow별로 나눠 할수도 있고 발표할떄도 편하고 기능적인 연결에도 장점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