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미팅 질문
손수림
- 신입으로 지원하는 회사를 고를 때 가장 우선적으로 봐야하는 무엇인가요?
- 회사를 고르실 때 어떤 점을 가장 고려하시나요?
- 도메인을 아직 정하지 못하였는데 도메인 선택시, 고려해야할 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 가고싶은 회사가 뚜렷하지 않아 회사의 지원동기를 정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 같습니다.. 멘토님은 이직 시, 가고 싶은 회사를 명확하게 정해두시는 편 이신가요?
- 신입 개발자들의 평균 임금이 어느 정도며 임금 커트라인을 얼마 정도 생각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 현업에서의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업무 프로세스와 내용이 궁금합니다
- 멘토님께서는 프로젝트 진행 시, 어떤 점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시나요?
- 지원자가 블로그나 포트폴리오를 제출 했을 시, 감점 요인 혹은 플러스 요인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 포트폴리오에 들어가면 좋을 것 같은 내용에 대해 궁금합니다! (신경쓴 점, 개요, 기간, 툴 등)
- 지원자의 깃허브에서 코드를 보시는지와 보신다면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 멘토님께서 코드를 짤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점은 어떤 부분인가요? (Ex. 재사용, 변수명 등…)
- 신입에게 꼭 질문하는 면접 질문이 있거나 신입이 꼭 알아야하는 내용은 어떤 내용인가요?
양윤
- 어떤 형태의 포트폴리오를 추천하시는지?
- 직접 웹만들기
- 노션
- 기타
- 포트폴리오는 퀄리티 있는 프로젝트 2~3개 정도가 좋다고 들었는데 어떻게 구성해야할지 궁금합니다
- 팀으로한 규모있는 프로젝트 - 리액트 프로젝트 2~3
- 개인으로 작업한 토이프로젝트
- 마크업만 중점적으로 한 프로젝트
-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프로젝트
- 리액트나 뷰 프로젝트
- 학습해면서 했던 잘잘한 작업(todoList, 검색사이트)들은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지 말고 깃허브링크를 기재해서 꾸준히 해왔다라는 성실성만 어필하면 될까요..?
- 이번 프로젝트에서 팀원들이랑 지라를 사용하고 있는데 꼼꼼히 티켓관리를 하고 잘 활용했다는 걸 보여주면 어필이 될까요??
- 프로젝트를 하면서 노션에 문서화를 하고 있는데 어떤 것들을 문서화해야하고 얼마나 꼼꼼하게 작성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매일매일의 진행상황, 매스프린트마다의 회고, 매스프린트마다 어떤 기능을 맡았는지..등등)
- 팀프로젝트의 경우 각자 맡은 영역이 있을 텐데 세세하게 기재하는게 좋을까요?
- 신입의 프로젝트를 볼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것이 트러블 슈팅(어떤 문제가 있었고 어떻게 해결했고 어떻게 개선했는지) 이라고 하는데 그 외에 어떤게 있을까요?
-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어떤 점들을 중점적으로 보시나요??
- 컴포넌트 재활용(중복코드가 없는지?)
- 상태관리
- 불필요한 렌더링을 안하는지? (useCallback, useMemo, reactMemo를 잘 사용하는지?)
- 컴포넌트 구조
- 로직 작성(자바스크립트 역량)
- 블로그가 있긴하지만 활발하게 포스팅을 안했으면 기재안하는게 나을까요?
- 공개적인 블로그 외에 학습하면서 작성하는 개인 노션(학습 노트)도 기재하면 좋을까요?
- 남 읽을거 고려해서 작성한 블로그
- 내가 보기 위해 작성한 학습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