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te
auth slice
Partial<AuthState>
selector 는 hook 으로
listener 는 전역으로 뺼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동적 세그먼트는 안해도 된다
멘토님은 컴포넌트명과 파일명을 일치하게 하는 것을 선호한다
value, error, loading 이 연결되어있으므로,
useReducer 를 사용하는 게 낫다

상태끼리 연관성이 있으므로, 객체 하나로 묶는게 나아보임
constants
usePrefix? ⇒ 파일 정규식 걸어서 use 가 있을 떄는 뭘 체크한다.
hook 으로 쓸거라서…
dummy data
Mock data 는 consts 계층으로 빠지는 게 좋아 보임
component 에는
component aks
Props 이름 앞에 붙이는게 좋을거 같음
index.tsx 는 구분하기 힘들다..
api 함수 이름 앞에 fetch, 또는 API.signup() 같은거 쓰자
return await 는 안좋다..
assets 폴더… 왜 통일 안했을까?
뒤에
Styled
를 붙이는 것에 대해 잘 생각해보자레이아웃 컴포넌트를 만들자~
Styled 컴포넌트임을 알려줄 필요가 없을 것 같다
utils → libs 로 할 수도 있따

대수적 처리
API 를 받는 코어에서도 error 처리를 해주어야 할 것 같다!
학습 목적으로는
rtk
→ time traveling 이 된다리덕스는 전역 상태만 관리한다? ㄴㄴ
상태관리와, 예측가능한
tenstack query 까지
redux store 에 어떤 상태를 넣느냐?
- 새로고침을 해도 유지
- API 로 가져오는 상태
- 다양한 상태에 영향을 끼치는 상태
package-lock.json
충돌.nvmrc
node version 통일
volta, z n?
rebase, squash merge
conflict
관리페어로 해결…!
fetch
, pull
생활화!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
정답이 있는것은 아님
어떤 팀장은 회사마다 평가가 다르다
어떤 회사는 마이크로 매니징이 정답일 수도..?
내가 지향하는 방향을 잘 잡아가는 것이 훨씬 중요…
나는 이런게 좋은 팀장인 것 같아..!
→ 그런 방향으로 노력하는 것이 정답인것 같다.
같은 회사인데 시기마다 다른 것 같다.
회사의 성장 구간 마다 필요한 인재상이 있다.
책임과 자유를 다 주기…
→ 리더와 보스의 차이…!
어떤 건 보스 같고, 어떤 건 리더 같고
내일 2시~4시 사이에 오프라인 커피챗 가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