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환경
- Typescript - fix
- - cra
- eslint, prettier
테스트 코드 여부
- jest
- react-testing-library
- storybook
api 통신
- axios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 react-query, swr >> 나중에 최적화 시킬 때 붙여도 될 것 같기도?
- api end point를 기준으로 캐시해서 서버에 재요청을 하지 않음
대표적으로 캐시 관리
- context api → 전역 상태관리를 처음부터? 나중에? 나중에라면 언제쯤 필요할까?
스타일 관련
- emotion, theme
emotion을 사용하는 이유?
styled-component를 사용하는 도중에 알게된 라이브러리로,
styled-component와 같은 기능을 모두 제공하고 있으며, 용량도 가볍고, 성능이 좋다고 알려져있다.
또한, css prop기능을 제공하고, SSR시 서버작업이 필요없다고 한다.
출처:
[Zereight's Blog]
애니메이션
- lottie
lottie를 사용하는 이유?
json파일로 애니메이션을 구현해 용량이 작고, 부드러운 애니메이션이 가능
지도
- mapbox api
- 세계지도를 활용할 수 있음
- 지도 디자인 커스텀이 가능함
mapbox를 사용하는 이유?
위치 가져오기
actions, releases
배포환경
- aws
변수명, 함수명, 파일명
- components, pages - 파스칼케이스
- hooks, 함수, 변수 - 카멜케이스
파일구조 컨벤션

- components - base(재사용 가능, 도메인 특성이 담기지 않은) domain(도메인의 특성이 담긴, ex_네비게이션, base를 확장해서 도메인 특성을 담은 경우)
- contexts - user, navigation, post, weather
- hooks
- pages
- routes - PrivateRoute, PreventedRoute
- styles - theme, reset, font
- utils - api 통신 관련, 상수, 함수 (같은 요청을 또 만들지 않아도 되서 편했음)
- styled component 작성 규칙 (동진의 제안)
- style.js 파일로 분리하기
- Card 폴더 - index.tsx
- style.js
CSS 스타일 관련
- reset - 파일로 넣기
- 폰트 - 파일로 넣기
- CSS 단위(px, rem, em?)
깃허브 위키
- 위키에는 어떤내용?
- 위키 관리자? - 지니~
- twl(today we learned) - 작성 후 슬랙에 링크 전달(알림)
- 프로젝트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