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주소창에
https://www.google.com/
을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Terminology
DNS (Domain Name System Servers)
- URL의 이름과 IP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웹사이트 주소록)
실제 네트웨크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 주소 = IP 주소 (예 : 63.245.217.105)
네트워킹을 장비들에 숫자 12개의 고유한 주소를 주어서, 그 주소로 통신을 할 상대를 구분 하도록 하자!
IPv4(예 : 123.321.465.789) : 약 40억개 경우의 수
IPv6(예 : 21DA:00D3:0000:2F3B:02AA:00FF:FE28:9C5A) : (43억)^4 개 경우의 수
- 일반인 사용자가 보는 웹사이트 주소 = Domain Name (예 : www.google.com)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데이터가 어떻게 인터넷 웹 위에서 이동하는지를 정의하는 통신 규약
- TCP/IP 규약을 사용하겠다는 것은, IP주소 체계를 따르며 TCP의 특성을 활용해 송신자와 수신자의 논리적 연결을 생성하고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미
-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IP주소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달하고, 그 데이터가 제대로 갔는지에 대한 개념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언어를 정의하는 어플리케이션 규약
- 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져있어 "어떤 데이터 주세요"라고 요청하면, "이 데이터 줄게요" 라고 응답하는 것
- 주로 HTML문서를 주고 받는데에 사용된다.
- POST, GET, DELETE, PUT
OverView


사용자가 주소창에 https://www.google.com/
입력
구글 웹 페이지 보여줘!
-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 IP주소로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메세지 전송 (서버)
입력된 Domain Name 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DNS 서버에서 검색
구글 IP 주소 : 173.194.126.240
HTTP 프로토콜(GET)을 사용해 요청 메세지 생성
구글 웹 페이지 띄워야 하니까 필요한 데이터 줘!
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를 Response 메시지에 담아 브라우저로 전송

- 브라우저는 받은 Response 메시지를 적절히 파싱하여 HTML 부분을 화면에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