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팀장 - 정종관
잘 부탁드립니다.
팀장 역할
- 기본적인 일정 공지, 팀원 모이는거 체크
- 노션 문서 관리
- 회의 속기 + 최종 정리
- 기술 문서 > 문서 제작 자체는 담당자가 하고, 게시 양식 같은 경우 팀장과 협의
- 회의, 스크럼 주관, 진행
일정 : 0606월 ~ 0622수
3회치의 스프린트 예정 (5-7일 주기)
정기 회의 일정 - 스프린트 마다
0회차 회의 - 0531, 0602
1회차 스프린트 (1주차?)
2회차 스프린트 (2주차?)
3회차 스프린트 (3주차?)
정기 스크럼 - 스프린트를 지킬 수 있게, 방향에 대한 점검
오프닝 스크럼
- 무조건 10분
- 오늘 해야할 과제 묻고 업무 분담 확인 및 일정 공유
- 버그가 생기거나 이슈가 있으면 슬랙, 깃이슈로 달고 거기서 따로 얘기하는 것.
클로징 스크럼, 코어타임 종료 30분 전 부터 (이 땐 좀더 회의도 가능)
- 작업 내용 공유
- 이슈 공유
예상 프로그래밍 타임
종관
- 평일 코어타임 + 3-4시간
- 주말 코어타임
우제
- 코어타임 + 추가.. / 0608(수)는 참여 불가, 저녁에 참여 예정
- 주말 코어타임
상기
- 평일 올인
- 주말 올인
윤성
- 일반 직장처럼 9시간(코어+3)
- 주말 코어타임 정도
지은
- 평일 코어타임
- 프로젝트 기간 부터는 주말에도 코어타임 만큼은
서로에 대한 일정공유를 어떻게 할 것인지? > 노션 캘린더
예상 작업 타임을 기록함으로써 사생활 침해 우려 낮출 것.
기술스택
- 언어 - JavaScript
- 프론트엔드
React
개발환경세팅 : cra vs webpack&&babel
cra - craco 설치 이슈
cra 버전을 낮추는 것은? 그것도 문제, 다른 라이브러리 설치 과정에서 cra에 충돌하는 지먿르 생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웹팩을 조금씩 수정하느니
아예 처음부터 웹팩을 공식문서로 공부해서 한땀한땀 만들어 보는 것은?
윤성 웹팩으로 다 쌓아 올려본 경험 있음. 혼자 하면 좀 걸리지만 서로 공유해서 해보면, 짧으몇 몇시간 길면 하루이틀.
준비해와서 다음주 화요일 모였을 때 환경 통일!
확실한 기술 명세 필요. 그렇지 않으면 수정할 것이 생긴다.
어떤 라이브러리를 추가로 사용하게 될 지?에 대해서 미리 얘기가 되면 좋을 것이다. 그래야 기술 명세가 확실하게 나올수 있을 것이다.
jsx, sass를 어떻게 바벨로 변환할 지?에 대한 것. 그래서 라이브러리는 그렇게 상관 없을지도?
상태관리 context api vs Redux vs recoil
리덕스 (근-본)
조금 어렵지만 중앙 상태 관리라는 개념에서 봤을 때 근본과 같기 때문에 공부하고 넘어가는게 좋을 수 있다.
앞으로도 공부해야 할 것이 많기 때문에 한 번 씩 해본 라이브러리가 낫지 않을까
아마 중앙 상태 관리가 그렇게 많이 안 쓰일 것 같아 너무 깊게 들어갈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그런 점에서 리덕스가 다소 어렵다고는 하지만 해볼 만하다고 생각한다.
스타일링 styled-components vs. emotion // react-icon 쓰면 쓰는거고..
요즘 emotion이 상승하는 추세?
SSR > next.js 별다른 설정 조작 없이 바로 적용간
styled > 추가로 뭘 깔아야?
추후에 ssr을 공부할 것을 감안하면 이모션도 좋지 않을까?
styled와 사용법이 크게 다르지 않고, 다른 장점이 있다고 하니 이 기회에 접해보는 것도 좋겠다.
또한 강의에서 사용중이기 때문에 학습하기도 좋다.
네트워크 : axios / react-router-dom
네트워크 통신에 axios가 편하다.
라우팅도 그냥 리액트-라우터-돔으로.
- 협업도구
- 코드 공유 - Git
- 일정공유- jira vs git board vs notion board?calendar? (미정)
- 코어타임 실시간 소통 - Discord && Slack
- 문서 공유 - Notion
- UI - Storybook / Figma? (미정)
- 스토리북 확정.
- 러닝 커브… 피그마 자체도 공부하는데 오래 걸린다. 쉽지 않을 것.
- 피그마를 사용하면 서로 디자인에 대한 공유가 잘 된다.
- 디자인 일정
- 학습 방벚
- 0602(목) 스프린트 회의에서 다시 얘기해볼 예정. (지은 발표 예정)
UI, 디자인 관련해서 서로 시안을 공유할 수 있는 툴이 필요하다. 스토리북은 코드를 통해서 만들기 때문에 시안을 만들어 공유하기 힘들다. 피그마는 시안을 만들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아무리 회의를 많이 해도 디자인을 시각화하지 않으면 각자의 머리속에서 또 다른 디자인이 나올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확실하게 공론화할 툴이 있으면 좋다.
문서로는 노션, 코드로는 깃이라면, 디자인,UI는 피그마지 않을까.
개발이 주 목적이기 때문에 크게 투자하지 않은 것이 좋겠다. 통상적인 디자인 원칙에 완전히 위배되게 하는게 아닌 이상 괜찮을 것이라 생각. 일단은 사용자 경험, 기능에 시간을 우선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모두가 다같이 학습하는 것은 비효율 적이라고 생각. 분담을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일부는 개발환경 세팅에 집중하고 일부는 피그마를 연습하고. 이후 각 기술에 대해 문서, 발표를 통해 공유하는 것이 좋을 것.
컨벤션
- lint, prettier - airbnb
기존에 사용되는 것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거기서 넣고 빼는게 낫지 않을까? airbnb라던가 tui라던가.
일단 설치해서 사용하다가, 추후에 불편한 점이 생기면 스크럼에서 얘기해서 규칙을 수정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아마 린트, 프리티어 같이 사용하는데 충돌 생길 것. 일단 설치하면서 그것 수정하는게 우선일 것 같다.
일단 airbnb 원문대로 사용해 볼 것. 경험해보고 나서 추후 스크럼이나 회고 회의에서 얘기하는 것이 좋을 것.
클린코드와 비슷하다. 일단 해봐야 알지 해보기 전에는 문서를 읽어도 알 수 없다.
TODO - 일단 오늘 바로 lint(airbnb), prettier 설치해서 각자 적용들 해 보시고, 더 좋다고 생각하는 점, 충돌이 나는 점들 얘기해 보면 좋을 것 같다. 목요일 피그마 때 같이 얘기해보자.
ex. single quote같이 호불호 갈리는 컨벤션. 탭사이즈라던가…
- pr && review 컨벤션
원칙! - 리뷰어&컨트리뷰터 공동책임
모든 CL(change list)를 검토할 것.
컨트리뷰터는 CL에 대한 정보를 충분하게 제공할 것.
pr에 대한 목적, 어떻게 변경하였는지, 어떤식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는지 등…
- commit template - 0602(목) 예정
pr template
단위
일단은 해봐야 알 것 같다. 시행착오를 많이 겪을 것이다. 일단은 업무량이 늘어도 잘게 쪼개보고 1차 스프린트 동안에 해봐서 시행착오를 겪어보고 그 다음에 회의를 통해서 2-3차 스프린트 때는 pr 단위를 조정해봅시다.
일단 모방..?
서로 의견 댓글 날아놓은 것을 바탕으로 다음 커밋 템플릿 확정할 때 같이 확정 짓는 방향으로.
review template
- 컴파일 되는가? - 당연히 이미 되어있야 하는 것이고
- 컨벤션 규칙에 맞는가? - 이것도 lint,prettier, coding convention 이미 세워진 규칙
- 디렉토리? 폴더 구조..? 컨벤션
- 컴포넌트 구조 - 주관적일 수 있는 것.
- 최적화+로직+중복 - 최적화가 충분히 됐는가? +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 UI의 경우는 중요한 기능의 경우.
커멘트 template?
리뷰어가 이해한 방향을 그냥 답글 다는 것이 아니라, 그 근거를 자세히 설명할 것. 이해한 방향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할 것.
이 코드는 틀려먹었다. 이 코드도 돌리면 프로그램이 망한다라는 마인드셑으로 봐야한다.
- css 컨벤션 - 0601 목 예정
- 폴더구조 - 0601 목 예정
장점 조금 더 크다는 생각.
export할 때 index에 모아서 내보낼 지
어떤 코딩 구조를 쓸 지에 따라서 갈린다고 생각
ex. container/presentation 구조, atoms 구조 등등…
코딩 컨벤션 - 0601목 추가 회의 예정
세미콜론: true
화살표함수? vs function vs class
var x
호이스팅
- 위로 빼거나, 헬퍼함수는 따로 파일로 빼는 것.
- index.js 와 style.js로 나눠서 파일로 빼기.
변수명 - 카멜 케이스
폴더명, 파일명 파스칼케이스? LoginPage, SignUpPage
절대경로(필요한 부분은 해줘야한다. 개발 환경 세팅과 연동…)와 상대경로 - 나중에..?
주석 컨벤션 : TODO, TOBEREMOVED…
변수명 적당히 짧게? vs 최대한 명시적으로?
is, get, … 접두 접미
이벤트 헨들러는 handle+aptjemaud?
- 규칙
- 코어타임, 카메라
- 기술 세션을 한다면 어떻게?
- 최소 질문?
- 발표식?
- 개념, 설치, 간단 도입, 함수들, 실제 사용 사례…?
추후 일정
0601 - 0차 스프린트 회의(2)
기술공유
- React 강의 (수?목?금?)
- Figma - 지은
- Webpack & 초기설정 - 모두..해보고..어려우면그냥CRA로돔황챠 → 0607화요일까지?
컨벤션
- Design Pattern - 종관, 우제 > 폴더구조
- esLint, Prettier - 모두
- css - 종관 + alpha?
- 기타 코딩 컨벤션 - 모두 (원래 쓰던 것, 검색해서 레퍼선스 1-2개)
git convention - 1기 문서를 기반으로
- branch
- main(배포) > dev > issue(기능별)
- commit template
- pr template
- comment template
- review template
- issue?
일정 공유 툴
- git project
- 캘린더(확정) - 스프린트일정, 발표가 있다던가 (대단위)??? 회의일정..
- 칸반보드 - 개발 잘게 쪼갠것들은
후반 갈 수록 문서화를 잘 못한다. 최대한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단 해본다!
개발이 최우선.
예상 이후이후 일정
- 리덕스
- 리액트-라우터-돔
- ax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