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진행 사항
📌 New 지식
useParams()
- ex) /diary/:id => /: 이하 부분이 path variable
useSearchPrams()
- ex) /edit?id=10&mode=dark => ? 이하 부분이 Query String
- state처럼 값을 받아 쓸 수 있음
ex)
- state처럼 배열의 비구조화 할당을 통해 값을 받는다. - searchParams : 데이터의 값 - setSearchParams : 데이터를 변경시킬 수 있는 함수 const [searchParams, setSearchParams] = useSearchParams(); const id = searchParams.get('id'); const mode = searchParams.get('mode'); console.log("id :", id, "/ mode : ", mode);
3-1.
useNavigate()
-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는 함수를 반환
- 페이지를 이동하는 함수를 상수 navigate에 반환하기 때문에, navigate의 인자로 경로를 작성하게 되면 경로 이동됨
- navigate(-1) ⇒ 뒤로가기
navigate('/search', { state: { title: title, }, });
3-2.
useLocation()
- useNavigate의 옵션으로 줬던 값을 가져오는 함수
ex)
const location = useLocation(); const { title } = location.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