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rvice
“ 내가 노래 추천해 줄게 ~ 얍! ”
얍! (Yap!)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가벼운 분위기의 음악 공유 플랫폼입니다. 🙌
여기에서는 좋아하는 음악을 가볍게 추천하고, 다양한 음악을 손쉽게 알 수 있습니다.
누구나 자신의 음악 취향을 자유롭게 나누고, 음악의 새로운 세계를 함께 탐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기획 배경
“매일 반복되는 일상 속! 좋아하는 음악 만큼은 (내가 노래 추천해줄게 얍~! 🙋♂️)”저희는 데브코스 슬랙의 노동요 나눔 채널에서 노동요를 공유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음악은 우리가 서로를 더 알아갈 수 있는 다리라고 생각하며, 이 서비스는 그 다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합니다.이 서비스를 통해 모든 이들이 자신만의 소소하고 확실한 행복을 만들어 나가고, 서로의 다양한 음악적 취향을 경험하며 소통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기대 효과
다양성과 새로운 발견
서비스를 통해 모든 이들은 자신만의 음악 취향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음악을 발견하는 기회를 얻습니다. 이는 다양한 음악 경험을 통해 개인의 취향을 더 풍부하게 만들어줄 것입니다.
일상 속의 즐거움
서비스를 통해 모든 이들은 일상적인 활동에서도 음악을 가볍게 즐길 수 있습니다. 코딩, 운동, 휴식 중에도 자신의 음악을 발견하고 공유하면서, 일상이 더욱 즐거워질 것입니다.
소통과 연결
서비스는 음악을 중심으로 한 소통의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은 음악을 통해 서로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음악 취향을 나누고 의견을 나누며, 새로운 친구나 음악 동호회와 연결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새로운 아티스트와 음악 시장 지원
서비스는 대중적이지 않은 아티스트들과 새로운 음악을 소개함으로써 음악 시장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숨은 보석을 찾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아티스트들에게 더 많은 기회와 관심을 제공하며, 음악 시장 전반을 활성화시킬 것입니다.
서비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러한 다양한 효과들은 음악을 통해 모든 이들이 더욱 풍요로운 경험을 쌓을 수 있게 하며, 음악이 일상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주요 기능
사용자 인증
- 회원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 로그아웃을 할 수 있습니다.
포스트
- 특정 카테고리의 포스트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 특정 사용자의 포스트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 특정 카테고리에 포스트를 작성/수정/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
- 포스트의 상세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댓글 & 좋아요
- 특정 포스트에 좋아요를 등록/취소 할 수 있습니다.
- 특정 포스트에 댓글을 작성/삭제 할 수 있습니다.
알림
- 나의 알림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
- 포스트 / 유저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내 정보
- 자신의 닉네임,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포스트 목록, 좋아요 한 포스트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 자신의 정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보
- 사용자의 닉네임,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포스트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 사용자를 팔로우 할 수 있다.
메시지
-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 받을 수 있다.
- 목록을 통해 다른 유저들과 나눈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뮤직 플레이어
- 음악을 재생/일시정지 할 수 있다.
- 음악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 음악의 원하는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Stack
공식 문서
🔏 API 명세서
⚙️ 기술 명세
🚸 Conventions
🚜 PR Conventions
Issue
## ✏️ 구현 사항 - [] 할일 * ## 📝 구현 사항 설명 <!-- 구현되어야 할 기능이나 수정되어야 할 이슈를 적어주세요 -->
TASK - PR
## #️⃣연관된 이슈 > ex) #이슈번호, #이슈번호 ## 💡 핵심적으로 구현된 사항 <-- 문제를 해결하면서 주요하게 변경된 사항들을 "스크린샷"과 함께 적어 주세요 --> * ## ➕ 그 외에 추가적으로 구현된 사항 없음 <-- 없으면 "없음" 이라고 기재해 주세요 --> <-- 주 Task 이외의 작업한 변경 사항 --> * ## 🤔 테스트,검증 && 고민 사항 <-- 배포에서 체크해봐야 할 부분 --> <-- 궁금한 점, 팀원들의 의견이 필요한 부분, 크로스체크가 필요한 부분 등 --> * ### 📌 PR Comment 작성 시 Prefix for Reviewers * P1 : 꼭 반영해 주세요 (Request Changes) - 이슈가 발생하거나 취약점이 발견되는 케이스 등 * P2 : 반영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Comment) * P3 : 이런 방법도 있을 것 같아요~ 등의 사소한 의견입니다 (Chore)
PR 에 대한 리뷰는 팀원 모두다 진행
PR 이 등록된 시간을 기준으로 모든 팀원 들은 24시간내에 리뷰를 작성합니다 👍
( 12일 11시에 등록된다면 13일 내에 리뷰를 완료합니다! )
- 만약 현재의 작업량이 많거나🤦 혹은 다른 문제🤒🤕로 24시간내에 리뷰를 할 수 없다면
반드시 Slack 에 사전 공지를 통해 알립니다. 🙋♂️
- 모든 리뷰는 서로를 배려하며! 이해가 안가는 부분은 반드시 작업자에게 질문!
참고 자료
🙋 Members
이재영
안정은
신종욱
최훈오
좋다 좋아
🙌 Ground Rule
최대 1 시간 ☝️ 고민하고 문제 공유하기
자세히…❓
- 규칙 : 고민 중인 문제에 1시간 정도를 할애했지만 해결하지 못했을 경우, 즉시 팀원들과 문제를 공유합니다.
- 이유 : 시간을 제한함으로써 문제 해결을 빠르게 도모하고, 팀원 간 지식 공유를 촉진합니다.
비 동기적 🤔 커뮤니케이션
자세히…❓
- 규칙 : 실시간 대화가 필요할 때를 제외하고는 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을 합니다.
- 이유 : 요청사항과 용건등을 정리해서 전달함으로써 상대방의 주의를 방해하지 않고 할 일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예외 상황 : 급한 이슈가 발생하여 해결이 필요할 때 → 실시간 대화로 해결합니다.
질문을 무서워 하지 않기 🙀
자세히…❓
- 규칙 :
- 정리해서 질문하기 : 질문을 하기 전에 질문 내용을 한번 정리합니다.
- (질문자) 모르는 것이 있다면, 이해될 때 까지 질문합니다. (답변자) 같은 질문이 100 번이 되더라도, 착실히 답변합니다.
-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말합니다. 서로가 채워줄 수 있으므로 꼭 말합니다.
- 이유 : 정리하면서 해결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정리해서 물어보면 좋은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물어보는 것이 쉬워야 의견 공유 및 더 풍성한 리소스를 바탕으로 팀 전체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규칙적으로 스프린트 회고를 진행하기 🤷♂️
자세히…❓
- 규칙 : 각 스프린트가 끝날 때마다 팀원들은 스프린트 회고를 진행합니다.
- 이유 : 회고를 통해 팀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계속해서 개선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회고 방법 : KPT, GBT 등이 있습니다.
- 스프린트 기간 : 총 1달이므로 1주 단위로 진행합니다.
코드 리뷰는 착실하게 규칙을 지켜 진행하기
자세히…❓
- 규칙: 코드 리뷰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모든 팀원은 주기적으로 리뷰어 역할을 수행합니다.
- 이유: 코드 리뷰는 품질 향상과 팀원 간 지식 공유를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 상세규칙:
- 코드 리뷰는 push한 뒤 하루 내로 수행합니다. ( 시간 기준 )
- dependency가 있는 작업이라면 1시간 내로 수행합니다
매주 함께 성장을 위해 페어 프로그래밍💻 을 진행하기
자세히…❓
- 규칙
- 1주일에 한번 씩 Sprint시간에 파트너를 정하여 진행합니다.
- 파트너와 상의하여 페어 프로그래밍을 진행할 Task를 사전에 꼭 전달합니다.
- 이유: 페어프로그래밍은 실시간으로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새로운 기술이나 기능 구현 시 유용합니다.
- 추가 규칙: 페어프로그래밍 시, 역할을 교대로 하거나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모든 팀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함께! 성장을 위해 정기적인 학습🧐 및 커피챗☕️ 세션
자세히…❓
- 규칙:
- 주기적으로 팀원들은 새로운 기술이나 도구에 대한 학습 세션을 진행합니다.
- 학습과 관련된 내용은 사소한 내용이라도 공유합니다.
- 커피챗을 자주 하며 꼭 학습과 관련된 내용이 아니여도 괜찮으므로 잡담도 좋습니다.
- 이유: 프로젝트 기간 동안 새로운 기술의 도입이나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팀 전체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학습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개인의 도메인 지식이 팀의 지식이 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잡담을 많이나누는 것이 곧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기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