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 Rule
- 혼자 고민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팀원들에게 꼭 물어서 같이 해결하기
- 소통 많이하기!
- 30분 이상 혼자 고민 금지
일정 관리
- 1주 단위로 기능 개발 스프린트
- 1주 단위로 회고
- Issue
- 개발하기 전에 필요한 기능 정의하는 용도로 올리기
- PR
- 이슈당 1개씩 생성
- 기능에 필요한 코드들 올리고 머지하는 방식!
- 코드리뷰가 되어야 머지 가능
- 코드리뷰는 언제? (유동적으로)
- 코드 컨벤션 잘 지켜졌는지 위주로 체크 (시간이 없으니)
- 리뷰어에 팀원들 달아서 알려주기
- Issue, PR 템플릿 사용해서 정해진 규칙에 맞게 글 올리기!
Prettier & ESLint
- ESLint airbnb 컨벤션으로 가되 유동적으로 커스텀 해보기
- Prettier → 얘기하면서 정해보기
Commit 컨벤션
- 이모지 + 영어 컨벤션
- gitmessage 정의해서 vscode에서 커밋하도록! (수현 설치 방법 공유 필요
################ #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 [🐛fix]: 버그 수정 # [📝docs]: 문서 수정 # [♻️refactor]: 코드 리팩토링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때) # [🎨style]: css 스타일링 # [🔨chore]: 빌드 부분 혹은 패키지 매니저 수정사항 ################
PR, Issue 컨벤션
- 내용
- 기능 설명
- 구현 내용
- 필요한 경우에 이미지 첨부 (UI 구현 등)
- 체크 리스트
- 분류 라벨
- Label 만들어서 설정하기 (FEAT, FIX, DOCS 등)
- 제목에도 붙이기 (ex. [FEAT] 기능개발)
브랜치 전략
- main: 릴리즈 배포
- develop: 개발 환경 배포
- 기능별로 이슈 만들기 → 이슈 하나당 브랜치 생성 → PR → 머지
- 브랜치 이름 규칙
- commit 컨벤션 앞에 붙이기
- feat/#이슈번호
- fix/#이슈번호
Git 협업 규칙 정리
- 기능에 맞는 이슈 생성하기
- 이슈 번호마다 브랜치 만들기 (기능에 따라 prefix 다르게 feat/#1, fix/#2 등)
- 개발 후 PR 생성
- 팀원들 코드 리뷰 후 develop에 머지
- 릴리즈 배포가 필요하면 develop 코드를 main에 머지
- 개발용 배포는 develop, 릴리즈용 배포는 main 브랜치 담당
사용 기술
- React + TypeScript
- css (3개 중에서 선택해보기)
- tailwind
- styled-components
- emotion
- 상태관리
- 전역 상태
- Recoil
- hook처럼 사용할 수 있어서 러닝커브 낮음
- 그 상태를 가지고 있는 애들만 리렌더링
- Context API
- Provider 하위 컴포넌트 모두 리렌더링
- 서버 상태 (API 통신)
- React-query (강추..)
- 번들링
- Webpack(CRA) vs Vite
디자인 시스템
- 피그마
- 무료 버전은 공유가 안되는 문제 → 공용 구글 아이디 하나 파기
- 스토리북
- 느려지는 문제..
- 시간 되면 해보는걸로!
프로젝트 주제
- 맛집, 개인 후기 올리기, 핫플레이스 올리기
- 구상 배경
- 네이버는 광고 위주다
- 로컬 맛집 찐 주민들이 올리면 신뢰감 올라감
- 네이버엔 영업시간 잘 안 올라와있음
- 광고없는 클린 플랫폼에 대한 갈증
- 붕어빵, 타코야끼 → 당근에서는 겨울마다 지도 만듦
- 사장님한테 오늘 영업하시는지 메세지 보낼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 채널 어떻게 활용할지?
- 채널 안에 포스트를 올리는 형태임
- 채널 나누는 기준 (더 생각해보기!)
- 음식 카테고리
- 지역별 (홍대 성수 잠실)
- 후기 형식은 어떻게?
- 가게 이름, 위치, 영업 시간 (휴무일)
- 사진을 필수로
- 후기 텍스트
- 참고 어플
- 가슴속의 3천원
- 붕어빵, 타코야끼 같은 노점상 운영시간 주민들이 기록
- 노점상분들의 유동적인 이동 시간에 맞춰서 사러갈 수 있음
- 취미 공유 sns
- 채널: 취미별로 채널 만들어서 꿀팁, 자랑글 올리기
- 사진 필수로해서 올리는 sns (인스타그램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