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기획 및 요구사항 일치 여부
- 요구사항이 조금 애매한(?) 것들이 있어서, 프로젝트에 맞게 잘 녹여내고 있다.
예시) 사용자는 가입자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 사용자를 검색하고, 팔로잉을 하고, 팔로잉을 하면 관련 사용자를 볼 수 있또록
- 전체적으로 요구사항에 맞는 페이지들과 UI를 잘 구현해주셨다.
🧐 코드 구조 및 품질
메모이제이션 적극 활용해보기
- 컴포넌트의 역할을 최소화 하기
- custom hook을 최대한 많이 만들어서 써보는 것도 좋은 방법 중에 하나
- 타입 적극적으로 만들어서 사용해보기
- 나중에 코드를 한 번에 바꿀 때 편리하다.
- React-Query 관련
- 잘 하고 있는 것 같음.
- 로그인 / 로그아웃 / 새로고침 했을 때 어떻게 인증할 것인지 정도만 고려해보면 될 것 같음
🛠️ 기능 구현 및 특징
- 지금은 기능이 구현 되었다기보단, 주로 UI만 만들어놓은 상태라서 특별한건 딱히 안 보임
😃 사용자 경험 (UI/UX)
- 캐로셀에 여백 신경쓰기
- 오른쪽은 여백이 UI를 가리지 않는데, 왼쪽은 가린다.

- 나머지는 대체로 깔끔하게 잘 되어있음
- 디자인이 이쁨
🗓️ 일정 관리

- gitbub project에서 다양한 항목을 만들어서 관리해보자.
- 이슈에다 직접 작성할 수도 있지만, 칸반보드에서 한 눈에 확인하기 편하도록 하면 더 좋다.
👥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 지금 매우 잘 하고 있다고 느껴짐
- 문서 관리도 잘 하고 있고
- 커뮤니케이션 규칙도 정해서 잘 하고 있고
- 칸반보드도 잘 관리하고 있고
- 코드리뷰도 잘 되고 있고
- 약간 조금 더 해보면 좋을건, 코드리뷰할 때 데모 영상 같은거 추가해서 컨텍스트를 파악하기 쉽게 전달하기
- 당사자들이 판단하기를
- 아직 안 싸웠음 → 잘 하고 있다고 느끼는 중
💡 기타
- 주기적으로 배포하기
- develop 브랜치에 머지가 되면, 자동으로 배포해주기
- github actions 활용
- PR을 올릴 때, PR 올린 다음에 푸시할 때
- type 검사
- lint 검사
- 기타 등등
- husky 같은 git hook을 이용해서 commit 컨벤션 등을 검사하기
- git에 stage에 있는 파일들을 커밋 할 때 lint, tsc 등 검사하기
- 커밋 메세지도 검사할 수 잇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