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북 사용 x
eslint recommend로(airbnb x)
import 순서해주는 eslint룰 적용
📌브랜치 전략
- main, hotfix, dev, feature브랜치
브랜치 네이밍
feature/이슈번호/페이지단위 or 컴포넌트(이건 유동적으로 가능) ex) feature/#13/Navbar feature/#12/Button hotfix/이슈번호 ex) hotfix/#100
- feature
- 기능 개발 후 삭제
- dev (default)
- feature에서 머지가 이루어지는 브랜치
- 직접 커밋 불가능
- 문제가 생긴 경우 feature/Fix… 이런 식으로 브랜치를 파서 진행
- ex) feature/FixLogin
- main
- dev에서 머지가 이루어지는 브랜치
- 직접 커밋 불가능
- 문제가 생긴 경우 hotfix 브랜치를 파서 진행
- hotifx
- main에서 문제가 일어났을 때 생성한 브랜치
- 수정 후 main으로 merge후 삭제
- 기능 명세서에 브랜치 명을 정의하고 사용한다.
- rebase merge vs squash merge(보류)
- 배럴 파일 사용 유무
- 배럴 파일의 문제점은 파일이나 폴더가 굉장히 많아지면 성능상 문제를 일으키지만 그럴 일은 없어서 사용했었음.
- 안함
- reset css 방식
- Provider로 씌우는 방식(GlobalStyles)
css
파일이 없어서 마음이 편안함- reset.css파일 따로 만들기
- 하나 더 있는데 기억 안남
- styled-reset
- img파일 위치
- src/assets/img(public x)
- font설정 방식
- font.css에서 url 가져오기
- 반응형 단위
- 1rem(10px, 62.5%)
- msw로 mocking
- 더미데이터 테스트하는거
- 디자인 시스템
- 차크라 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