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날짜와 시간을 다루기 위해 제공되는 내장 객체
- 다양한 초기화 방법 - 각 방식에 따라 생성된 날짜와 시간 다름
const now = new Date(); // 현재 날짜와 시간 const date1 = new Date("2024-12-28T07:00:00"); // ISO 8601 형식 const date1 = new Date("2024-12-28") const date2 = new Date(0); // 1970년 1월 1일 00:00:00 UTC const date3 = new Date(86400000); // 하루 후 (밀리초 단위) const date4 = new Date(2024, 11, 28, 7, 0, 0); // 연도, 월(0부터 시작), 일, 시, 분, 초 const date5 = new Date(date1.toString()) // string으로 변환된 날짜도 가능. 대신 시간만 있는건 안됨
- Date 객체의 메서드
객체 값 메서드

get~은 객체 값 반환, set~은 객체 값 변경
날짜 형식 변환 메서드

const date = new Date(); console.log(date.toISOString()); console.log(date.toLocaleString('ko-KR', { timeZone: 'Asia/Seoul' }));
- 타임스탬프
•
getTime()
: UTC 기준으로 1970년 1월 1일부터 경과한 밀리초를 반환.- 뺄셈으로 두 날짜 간의 차이(경과시간)을 계산할 수 있음
const date1 = new Date("2024-12-28"); const date2 = new Date("2024-12-29"); const diffInMilliseconds = date2.getTime() - date1.getTime(); //밀리초 단위 차이 (하루는 86400000ms) const diffInDays = diffInMilliseconds / (1000 * 60 * 60 * 24); //하루 밀리초로 나눔 => 며칠 차이인지 나옴 console.log(diffInDays); // 1일 차이
—
참고)
prisma에서 SQL의 DateTime 타입은, prismaClient에서 Date타입으로 변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