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의 성장을 위한 피드백입니다.
보완할 점이 있다면 자세하게 작성해주세요 ~.~
- 오늘분량: 이력서 + 리액트
특이사항
피드백
천욱 20분(52 - 12)
면접관 피드백
- 수화
- wumo 리팩터링 진행중, 어떤 걸 하고있냐? → 무한스크롤 기능 → 추가한 이유? 모바일에서 페이지네이션이 무한스크롤이 적합하다 생각함
- PureComponent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준비하면 좋을 듯.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 props, state가 바뀌지 않으면 리렌더링하지않음
- React.memo → PureComponent랑 동일한 개념인데,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대응되는 개념임.
- useMemo를 사용해 최적화 한 경험 → 어떤 기준으로 최적화할지말지 결정했는지 ?
- React hooks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왜 사용하는지 잘 설명한듯, 종류도 같이 언급해주면 좋을 듯
- react hooks 규칙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use prefix, 최상위 선언 잘 말함! → 왜 최상위에 선언되어야하나? 까지 준비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 웹에서 무한스크롤이 웹접근성을 낮춘다는 얘기도 있더라구요(링크 찾게되면 공유드릴게요), 왜냐면 새로고침 시, 처음 데이터 화면으로 돌아가니까.. 이런 부분을 어떻게 처리했는지도 물어볼 수 있을 듯
- 명재
- wumo 프로젝트에서 왜 리엑트로 채택했나요? → 익숙한 라이브러리라 + 커뮤니티가 활성화가 잘 되어 있어서 사용했다 → 채택한 이유를 리액트의 장점 또는 정말 리액트가 필요하다는 부분을 어필하면 좋을듯
- vue, angular와 react의 차이점 알아보기!
- useInfinityQuery 훅은 언제 사용했나요?
- pure component 알아보기
- props drilling → children도 있음!
- 리액트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리액트 특징과 같이 잘 설명함 굳👍
- (꼬리 질문)선언형 프로그래밍이 뭔가요? → 올 개념은 완벽! 하지만 리액트와 연관지어서 설명하면 좋을듯 (상태 없데이트에 중점을 맞춘다 등등)
- (꼬리 질문)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뭔가요? 개념을 다시 공부하면 좋을듯
- Props Drilling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그렇게 되면” 같은 모호한 부분 줄이면 더욱 단백하게 들릴듯 (개념은 깔꼼!!)
- Props Drilling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 전역 상태 관리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나?(나도 궁금하네.) ⇒ children 사용하는 방법도 있음
명재 20분(16 - 36)
면접관 피드백
- 수화
- js → ts : tsconfig 어떻게 설정했는지? 기본단계로 진행 → 기본이 뭔가? ESM 모듈로 설정한 이유?
- virtual dom이 jsx로 만들어지는 건가? → 아니다? → 그럼 무엇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냐?
- 실제 dom과 동일한가? 트리 구조로, 구조는 동일하지만 가상돔은 메모리에 있고, 실제돔은 html에 있기에 다르다??
- setState 동기? 비동기? → 왜 비동기일까? → 언제 비동기를 처리할까??
- key props을 사용하는 이유: 자세히 알고있다는 느낌을 받았음. 리스트 예시를 들어줘서 좋았음.
- 고차 컴포넌트 개념 → 공부합시다!!
: 간단하게 말해줘서 꼬리질문 계속하게 됨. 유도한 거 맞나?
: 비동기라는 점, 왜 비동기인지 잘 말해줬음. 언제 비동기 처리하는지까지 알면 좋을 거 같음. (나는 중괄호? 라고 생각했는데.. 잘 모르겠따)
flushSync
- 천욱
- EMO 백엔드 구현은 어떻게??
- 리액트란? 리액트 특징
- JS의 SPA는 직접 DOM을 조작해야하기 때문에 프로젝트가 커지면 관리하기가 힘들다. ⇒ 선언적 프로그래밍으로 UI를 생성한다는 특징도 말하면 좋을듯
- useRef란?
- 상태 외의 다른 값?? 왜 리렌더링이 안되나?
- ⇒ useRef는 컴포넌트의 렌더링 주기와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useRef로 생성된 값이 변경되어도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지 않습니다. 이는 useRef를 사용하여 상태 값이 변경되어도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되지 않도록 원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 클래스에서 함수형으로 많이 사용하는 이유? ⇒ 대답 좋은듯!
(왜? 인지는 잘 모르겠다)
수화 20분 (28 - 48)
면접관 피드백
- 천욱
- Next를 사용한 이유는?
- 프레임워크를 사용해보고 싶었다, 처음사용해봤다 → 어려웠던 점은??
- JWT란? 단점은?
- React.Fragment와 <>의 차이점?
- 내가 원하는 대답은 key props를 넘길 수 있고 없고 인데… 수화 대답이 렌더링 될 때 빈 태그가 남고 안 남고 였나?
- key props를 넘기는 이유
- 답변이 좀 길었던 느낌?? 간략하게 해서 꼬리질문 유도하는것도 좋을것같아!
- hydrate란??
- Next사용했으면 꼭 알아두어야 될 것 같음!!
- Recoil 사용 이유, 장단점
- 장점 - Hook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했다.
- 단점 - Toolkit이 없다는게 단점이라고 생각함!
⇒ 공식 문서의 예제를 보면서 극복
⇒실제 나 회사 면접에서 받은 질문인데 브라우저에 저장을 해야돼서 세션보다 보안이 약하다고 대답함. 근데 그러면 쿠키와 다를점이 없다라는 피드백을 받아서 이 부분 보완하면 좋을듯!
→ 쿠키도 브라우저에서 보임~~ 아닌감? ㅇㅇ 맞아
- 명재
- 모입 플랫폼 서비스를 선택하게 된 이유가 있나요? 뭔가 “끼니 프로젝트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를 다르게 질문하고 싶어서 물어봄 ㅎ…
- 끼니 프로젝트에서 맡은 업무가 어떻게 되나요? → 깔꼼
- Preflight request 개념이 어떻게 되나요? → 개념 설명 깔끔, 꼬리 질문으로 어떻게 해결했는지 물어볼려고 했는데 경험가 같이 설명해줘서 좋았다.
- 끼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개인적인 목표와 팀적인 목표를 설명해주세요. → 이런 질문은 어떰?
- React.Fragment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예시를 통해서 개념 설명 굳!
- useEffect와 useLayoutEffect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useEffect는 비동기적으로 동작하고 useLayoutEffect는 동기적으로 동작을 중점으로 설명하면 좋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