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겟 유저
- 우리가 할 수 있는 선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는 것
- 완성도가 있는 서비스를 포트폴리오에 넣고 싶다! →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함
- OTT 서비스를 공유하는 것으로 가자
- 개발 정도
- kakapay 붙여서 개발하고는 싶지만 아직 자세한 조사가 없음
- 실제 결제가 어려우면 다른 지불 방법을 연결할 수 있게끔 (톡방 등 중개하는 방법)
- 사용자 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인증 방법
- auth, sns 인증 서비스...
- 저희가 할 수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함
- 명확한 타겟 유저층
- 2~30대, OTT 등 앱의 사용이 익숙한 사용자들이 우선이 될 것 같음
- 레포
- 공지가 나오는 대로 다시 의논
- 기능 개발 우선순위
- OTT 중심으로 먼저 갈 것 - 만장일치
- 와이어프레임 먼저 만들거 api 명세서 주기
- 팀장
- 프1, 백1 뽑기
- 소통 방식
- Jira : 스프린트 관리, 팀원 수행 관리가 편함
- 깃 이슈 직접 보는 게 불편하다!
- 깃헙 프로젝트 이용 거의 안 함 → 한번쯤은 다른 거 써보는 게 좋겠다
- 하지만 Jira가 처음 쓰는 입장에서는 어려울 수 있다 → 젠허브 써보는 건 어떨까
- 하지만 레포를 따로 관리하는 입장에서는 어떨 지 모르겠당.
- 지라 사전설정은 백 상민님이 해주시는걸로!
- API 문서화
- Swagger : 변경할 수 있음 (코드기반) - 소통이 원활함 ⇒ 백엔드
- Postman : 텍스트 중심으로 돌아감 ⇒ 프론트엔드
- 소켓 기능
- 알림이나 채팅 등의 기능을 구현하려면 필요하긴 하지만.. 꼭 필요하진 않을 수도 있다!
- UI 색상 정하기
- 모바일 중심으로, PC 확장해 나가기
- 프로젝트명... 고민해보기...
- 결제 방식은 좀 더 알아보고 결정하는 것으로~
프론트 할 거
- 플로우 차트
- UI Wireframe → Figma
- Material UI 써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