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 척도
- f(x) 함수처럼 x값을 넣었을 때 f(x) 결과값을 반환하는 것.
- 그래프를 그리면 직선의 형태를 띔.

domain과 range
"입력 데이터가 0이면 화면에 0으로 보여지면 좋겠고, 데이터 중 가장 큰 값이 입력되면 화면에 최대 너비가 100으로 나왔으면 좋겠다."

const x = d3.scaleLinear(); x.domain([0, 10]); x.range([0, 100]); console.log(x(0)); //10 console.log(x(10)); //100

domain([domain])
- 입력 데이터, 데이터 값을 기반으로 최소(0)-최대값을 가짐. [domain]은 숫자 배열. 배열 내 요소는 2개 이상.
range([range])
- 출력 데이터, 보여주고 싶은 최소-최대값. [range]는 숫자, interpolator(색상, 문자 등) 배열. 배열 내 요소는 2개 이상.
순서형 척도 & 묶음 척도
텍스트 등 정성적 데이터를 위한 척도.
순서형 척도(scaleOrdinal)
- domain에 정의된 배열이 range 배열과 동일한 인덱스로 요소가 배핑됨.
묶음 척도(scaleBand)
- 균일한 range로 밴드를 나눔.

bandWidth()
로 계산한 구간너비를 알 수 있음.

영역과 여백
다음과 같은 방법을 추천함.

- svg와 g태그를 분리하여 간격을 지정함.
- 차트를 그릴 때 svg그룹을 기준으로 차트를 추가함.
- margin 영역에는 차트의 부가적인 정보를 기입함.
x축, y축
- 대표적으로
axisTops
,axisRight
,axisBottom
,axisLeft
가 있음.


키워드
- scaleLinear
- scaleOrdinal
- scaleBand
- domain
- range
- axisTop, axisBottom, axistLeft, axisRight
- ticks
- tickFormat
axis api 문서 읽기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