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모드 구현
- Material UI의 dark mode를 활용하여 구현에 필요한 시간 비용을 줄였습니다.
- 재방문 시에도 이전에 설정해둔 다크모드가 적용되도록 localStorage를 활용했습니다.
- Context API를 통해 현재 모드(light 혹은 dark)를 전역으로 저장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세심한 스타일링이 필요한 컴포넌트에서는 전역으로 관리된 모드를 가지고 와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고 props drilling을 방지할 수 있었습니다.
[성과, 느낀점, 배운점 등등]
개발 환경: [사용한 언어, 도구, 서버 정리]
React, TypeScript, MUI, Context API, Emotion, ESLint, Prett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