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발에 대한 회고
프로젝트를 개발하며 느꼈던 점들
원지
- GOOD : 새로운 툴이나 기술을 경험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팀에 실력적으로 훌륭한 팀원들이 많아 툴 사용법, 기술을 편하게 익힐 수 있었습니다. 또, 팀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보니 코드에 더 책임감을 갖게 되었고 이게 맞나 계속 고민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 BAD : 설계를 해놓고 시작해도 구현에 막힘이 있어 개발 속도가 느립니다. 코드 작성 연습을 더 해야겠습니다. 커스텀 훅에 수정사항이 많았는데, 훅을 만들 때 사용성과 확장성에 대한 고민을 더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노철
- GOOD→ 경험 많은 분들과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프로젝트가 어떤 식으로 진행 되는지 배울 수 있었고, 여러가지 기술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과 같이 작업을 진행하는 부분이 재미있었습니다.
- BAD : 나중에 어떤 식으로 사용될지 깊게 생각하지 않고 코드를 작성했던 것 같습니다. 작업을 진행하면서 앞에 작업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어서 이것을 고려했다면 좀 더 반복되는 부분을 줄일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승희
- GOOD : 스토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컴포넌트와 커스텀 훅을 만들어 좋았습니다. 또한 멘토님 피드백을 통해 개발 생산성, 컨벤션에 대해 고민할 수 있었습니다. 팀 프로젝트다 보니 커밋을 작성하거나 PR을 올릴 때 조금 더 신중하게 임한 것 같습니다.
- BAD : 타입스크립트 활용에 대한 확신이 아직 부족한 것 같습니다. 종종 맞게 짜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지성
- GOOD
- 사전 영화 검색 프로젝트를 통한 팀프로젝트 사전경험이 개발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 혼자만의 개발과 팀과 함께하는 개발의 차이점을 알게돼서 좋았습니다…!!
- BAD
- 변수로 인해서.. 미리 제가 사용하고자 했던 기술들을 안타깝게 쓰지 못 한 상황이 발생한게 조금 아쉽습니다….
- 기술적 성장이 아주아주 많이 필요해 보입니다…! ⇒ 구현력의 부족을 정말 많이 느꼈습니다!
혜진
- GOOD : 사용해보지 않았던 기술을 각자 공부해보고 적용해보면서, 서로 배운 점을 공유하는 시간이 좋았습니다. 특히 redux-toolkit 을 공부하고, redux-toolkit 사용법에 대해 문서화를 하면서 해당 기술에 대한 저 스스로의 이해도도 높아진 한 편, 팀원끼리 의사소통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던 점이 좋았습니다.
- BAD : 아직 기술적으로 부족하고, 모르는 게 많아서 삽질을 많이 하느라 시간이 많이 부족했습니다. 특히, Node.js 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서버리스 함수를 사용하여 multiform 데이터를 못 받아왔던 것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2. 협업 방식에 대한 회고
함께 협업하며 느꼈던 점들
원지
- GOOD : 다른 팀원들이 무슨 작업을 하고 있는지 이슈를 통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pr 올릴 때 approve를 통해 검사 맡고 머지할 수 있어서 든든했습니다.
- BAD : 깃 커밋할 때 기능 단위를 크게 쪼개서 커밋 이력을 확인할 때 불편했습니다. 앞으로 커밋에 더 신경을 써야겠습니다. 또, approve를 남길 때 코드를 세세하게 못 봐드린 적이 있어 죄송스럽습니다. 남은 기간에는 빠르고 꼼꼼하게 pr 확인 후 approve를 남겨드려야겠습니다.
노철
- GOOD : 규칙, 세부 사항들 그리고 라이브러리 사용법 문서화해서 공유하는 것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필요할 때 마다 찾아 볼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스크럼을 매일 하는 것도 좋았습니다. 유기적으로 이슈를 공유를 못하더라도 현재 상황을 공유하는 시간이 하루에 한 번은 있어서 어떤 상황인지 알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 BAD :팀 규칙을 잘 준수하며 코드를 작성해야 했는데 무시하고 작성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승희
- GOOD : 팀 공통 목표가 정해져 있어 의사결정에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스크럼과 주간 스프린트를 통해 각자 맡은 업무와 이슈를 바로 바로 공유해서 좋았습니다.
- BAD : 빠르게 진행하다 보니 양질의 PR 리뷰를 남기지 못한 것 같아 아쉽습니다. 무지성 approve로 버그를 잡지 못한 적이 있는데, 간단한 기능의 PR이라도 꼼꼼이 살펴보는 습관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지성
- GOOD
- 언제나 열려있는 마인드와 팀원분들을 돕겠다는 마인드가 우리 팀원분들께서 너무 잘 갖춰져 있어서 완벽했습니다
- 부담감, 불안감, 엄청난 책임감에서 벗어나 협업이지만 규율 내에서 자유롭게 코딩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BAD :
- 아무래도 협업이 낯설다보니.. 제가 많은 도움이 됐을지는 모르겠습니다
혜진
- GOOD : 개발 초기에는 API 와 타입을 세팅하는 그룹과 공용 컴포넌트를 만드는 그룹, 글로벌 스타일과 전체 레이아웃을 만드는 그룹으로 분리하여 의존성이 높은 모듈에 대한 초기 작업을 진행하고, 그 후에는 각자 페이지를 맡아 개발하는 방식으로 협업을 진행해보았습니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니, 개발 중간에 발생할 수 있는 동일한 코드 재작성과 코드 충돌을 최대한 피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습니다.
- BAD : 촉박한 일정에 쫓기다 보니 PR 리뷰를 꼼꼼하게 하지 못해서 아쉬웠습니다. 또한, 의존성이 있는 기능을 만드는 PR 이 머지될때까지 다른 팀원들이 기다려야한다는 점이 아쉬웠던 것 같습니다.
3. 앞으로의 다짐
남은 기간 동안 각자의 다짐
원지
- 남은 기간 동안 리팩토링, 추가기능, qa 열심히 해서 실력적으로 더더더더더욱 성장하겠습니다! 워밸워밸~
지성
- 기술적인 성장이 가장 중요해보입니다..! 스스로의 한계를 분명 많이 느꼈던 프로젝트였기에….
- 좋은 팀원분들 만나서 좋은 협업 방식에 대해 배울 수 있어 좋았습니다! → 이를 바탕으로 더 성장하겠습니다
- 팀 프로젝트에서 잘 됐던 점, 부족했던 점들을 회고하는 시간을 분명하게 가져야 할 듯 싶습니다
노철
- 남은 기간 동안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겠습니다.
- 팀원 분들 감사합니다
승희
벌써 절반이나 지났다니 시간이 정말 빠른 것 같아요. 힘들긴 하지만 기획할 때 쏟아냈던 것들이 하나씩 만들어져가고 있는 모습을 보면 뿌듯하기도 합니다. 다음주 완성된 모습을 기대하며 남은 기간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
혜진
- 일정을 최대한 보수적으로 잡아 진행하다보니 다소 빡빡한 스케쥴이 되었는데, 팀원분들이 잘 따라와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저희 팀원들이 모두 크게 성장할 수 있는, 긍정적인 팀프로젝트 경험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