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act-query를 사용하는데 있어 필자는 재사용성이 없고 이미 react-query 훅을 사용한다고 생각을 하여 따로 또다시 훅으로 빼지 않고 선언하여 사용하는데 파일 내부의 코드의 양을 줄이기 위해 useQuery, useMutation을 hook으로 빼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더 나아가 v5부터 qeuryOptions가 추가되어 더더욱 hook으로 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 개인 취향!! 확실한건 관리 포인트가 있어야하는건 맞는 것 같다.
const goSignupPage = () => navigate(`/${PATH.SIGNUP}`); return ( <> <Button onClick={goSignupPage}> 이동하기 </Button> </> )
return ( <> <Button onClick={() => navigate(`/${PATH.SIGNUP}`)}> 이동하기 </Button> </> )
- 위와 같은 예시를 들어 필자는 후자 즉 간단한 것은 함수로 빼지 않는 것을 선호하는데 handler 관련 함수에 대해 간단한 것이더라도 상수로 빼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불필요한 상수를 만든다고 생각했습니다)
→ 한 줄은 바로 쓰는 느낌(?) 적당한 선에서 알아서 하기 두 줄까지도 바로 쓸 수도 있고?
- ui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기 위해 재사용성이 없는(1,2회 사용)되는 것이라도 hook으로 빼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필자는 재사용성이 없다면 훅으로 빼지 않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파일 개수가 많아지면 번들 사이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화면 내에 복잡한 긴 것을 묶는 것은 괜춘
재사용성이 없는 것은 묶지 않는 것이 좋을듯
→ 지양해야하는 custom hook
이 페이지에 있는 모든 로직을 다 묶어서 훅으로? nono
- 프로젝트를 새로 한다고 가정할 때 취업을 해야한다는 상황이라고 한다면 검증된 기업에서 많이 사용하는 library(emotion, tailwindcss, vanilla-extract)로 해야할지 혹은 관심이 있는 아직 검증이 되지 않은 기업에서 아직 많이 사용하지 않은 library(Panda CSS)를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해도 될지 궁금합니다!
→ 무엇을 쓰는가가 중요한게 아니고 왜 썻는지? 그런걸 잘 설명한다면 오히려 좋아. 어떤 이유에서 좋아보이는 이유. 왜 다른거 안 쓰고 이거 썼음? 이거에 대해서 말할 수 있음 ok
써도 상관 없다! 썰 풀이가 하나 더 늘어나는 것 (관련된 썰풀이를 더 준비하면 좋을듯) ex) css in js와 utility css의 차이
ex) panda css를 사용한 이유? 다른거 냅두고 왜 이거 했는지?
- .env 파일을 monorepo에서 읽지를 못하는 것 가다.(turborepo)
멘토님 답변
strict 모드를 안 쓰는 것을 추구한다.(안쓰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app/volunteer, app/shelter 내부 vite.config.ts를 설정하면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