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aco 써야 하는가?
- jsconfig.js로도 가능할지도..?? 하지만 이미 craco 설정 완료..
- 백엔드 공유 화면: 플로우 페이지로(그러려면 플로우 페이지 잘 정리해야)
- Flow 페이지로 구현할 것이라고 안내
- 이메일 인증 방법 요청
- 링크이동
- 인증번호 입력
- API 호출값 반환받기
- > React Query Interval 관련 사용하여 처리
- > 백엔드에서 받은 인증 성공에 대한 결과 값을 버튼 색상 및 글자로 표기이메일에서 ‘인증’ 이런 버튼 클릭하면 인증되었다는 결과를 반환받는 API를 받는 식으로 하고 싶어요. 이게 화면에서 핸들링하기 쉬울 것 같아요.
1번의 링크 이동이 어떤 방식인지 모르겠어용. 라우팅이 왜 필요하죠?
2번은 구현이 복잡할 것 같아요ㅠ 전 그냥
(1) 유저가 회원가입 화면에서 이메일 인증 전송하는 버튼 클릭
(2) 유저가 이메일에서 인증 메일확인 후, 인증 버튼 클릭
(3) 회원가입 화면에서 이메일 인증 성공 결과 확인
- 기획서 내용 피드백(오늘까지 제출)
- 피드백 완료
- 라우팅 각 페이지를 폴더로 만들면 좋을지?
pages
→ 페이지별로 폴더 구성(login
,signup
등) → 페이지에서만 사용하는 컴포넌트, 훅 폴더 및 파일 생성
- PR & commit 메세지 좀 다르게 (wiki 내용 수정)
- PR close #{issue-number} 로 마지막에 issue 닫기
- commit
feat: ~(Ex. 좋아요) 기능 추가 fix: ~ 버그 수정 refactor: ~ 코드 리펙토링 docs: ~ 문서 수정 style: ~ 코드 포맷팅, 세미콜론 추가 / 변경 design: ~ 스타일 추가 / 변경 test: ~ 테스트 추가 / 변경
- 레이아웃 등 폴더구조
- 기본적인 폴더구조는 현재 구조로 따라가되, 개발 진행중에 서로 충돌되는 구조가 있다면 스크럼때 얘기후 한 사람이 구조 바꿔서 머지 후 다시 진행
- 스토리북 하는거 맞죠..?
- 사용X, 나중에 지우는 걸로
- validation
- 프론트에서도 해야 하는 것이 맞고, 아래 요구 사항 명세 문서를 통해 validation 항목 확인 후 추가할 것이나 수정할 사항은 노션 페이지 링크에 댓글로 달아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