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 파일 나누는 방법
api -user.ts -like.ts ...
api 폴더 → 해당 기능 파일 → 파일 안에서 함수로 api 호출
커밋 컨벤션
- 팀원들이 이전 프로젝트에서 모두 한글로 커밋을 했기 때문에 한글로 커밋하기로 결정
- prefix는 줄임말을 쓰지 않는 방향으로 결정
git 협업(브랜치) 전략
- git-flow
- main - develop - feature
- 작업 전 기능 issue 생성 - 작업 후 pr & issue close
//pr에 달아두면 pr 머지될 때 issue가 같이 닫혀요! close #이슈 번호
- pr merge는 squash and merge

프로젝트 목표 - 개인 목표
- 민재 : 라이브러리(리액트 쿼리, formik…) 같은 내용들을 잘 활용해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또 해당 기술을 사용한 타당한 이유도 생각하고 사용하기.
- 유리 :의견 적극적으로 말하기(이전 팀 피드백에서 개선해야 할 점), 문서화, 사용하는 기술들을 이해하고 잘 활용하기, 프론트엔드/백엔드 팀원들과 멋지게(원활하고 효과적인 소통) 협업하기 위해 노력하기💃🏻🕺🏻
- 지영 : 타입스크립트 장점 적극 활용하기(에러 막는 용도로만 사용하지 않기…), 팀원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한 협업!, 프로젝트 기간동안 문서화 놓치지 않기
- 천욱 : 기능구현에만 비중을 두지 않고 기술(TS, Next, Recoil) 잘 활용해보기.. 잘 활용해본다는게…..음.. 면접에서 물어보면 자신있게 대답할 수 있는 정도??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정리하는게 중요할듯)
프로젝트 목표 - 팀 목표
- 민재 : 원활한 협업, 소통을 위해 힘든일이나 필요한 내용이 있다면 팀원들에게 바로바로 말하기
- 유리 : 최소 기능 구현 및 배포를 마감일 1주일 전에는 하기, 꾸준히 유지 및 개선되는 프로젝트(테스트도 해보고 싶어요..ㅎㅎ)
- 지영 : 버그 없는 기능 구현!, 마감 이후에도 계속 리팩토링하는 프로젝트가 되면 좋을 것 같다.
- 천욱 : 1기 종현님 말씀처럼 오래오래 유지하는 프로젝트를 만들고 싶다. (백앤드 서버 비용은 어떡하지?)
개발 환경 설정
- prettier
- eslint
- stylelint → 좀 더 알아보기!
- husky + lint-staged : 커밋이나, 린트에서 에러가 생기면 커밋을 막는다 자체가 안된다.

- eslint-plugin-import → @type/eslint~
기술스택 확정
- 언어: TypeScript
- 번들러: Vite
- 백엔드 통신: React Query
- 상태관리: Recoil
- 스타일링: Emotion, Storybook → 디자인 시스템
프레임워크:NextJS
- 패키지 매니저: NPM
- 애니메이션 라이브러리 쓸건지?
- Framer Motion + Chakra UI (레이아웃 활용 Goooood)
기능 구현하면서 이루고 싶은 점
- 모바일 먼저, 데스크톱으로 확장 (반응형 웹)
- 시맨틱 태그, 웹 접근성 지키기 — 구체적인 방법 찾아보기,,
- 데이터 시각화 적용 (우선순위가 높지 않음!)
FE의 팀 문화
- 지각하지 말기!
- 프로젝트 작업 할 땐 게더타운 들어와 있기
- 코드리뷰: 뱅샐 코드리뷰 문화 적용
- 칸반 보드 활용 (노션, GitHub Projects)
- 회고
- 개인 프로젝트 일지 작성하기
- 스크럼은 동일하게 진행!
FE 프로젝트 역할
- PM: 민재님
- 디자이너: 천욱님
- 프로젝트 초기 세팅: 유리님
- 문서화: 지영님
멘토님과 커피챗 후 변경된 사항!
- nextJS는 빼자!
→ react-query, typescript 등도 배우면서 해야하는 입장에서 nextJS까지 넣으면 이도 저도 아닐 수 있다! react로 더 완성도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더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 디자인 시스템?
→ 디자인 시스템 만드는 경험도 좋지만 과연 props등을 모두 고려하여 수정없는 디자인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을까? 이후에 계속 디자인시스템도 수정하는 것도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음!
팀 선택: 간단하고 자주쓰이는 것만 우선적으로 만들자! 우선순위를 나눠서 작업!
기타 사항
!금요일 ~ 수요일까지 FE는 복습기간!
- 월요일 오후 9시 FE + BE 회의
- 월요일에 의논해야 하는 사항 생각해보기
- 협업 방식(모노레포 or 멀티레포)
- 팀 문화(전체)
- 팀명/프로젝트명
- 역할(문서화, PO, SM … )
- 스크럼 시간/횟수 (백/프 다 모일지 등등)
- 아이디어: 주제 및 핵심 기능
- 서로에게 바라는 점
- 오프라인(목, 금 제외 월, 화, 수) 일정 → 유동적으로 합시다!
다른 기수 요구사항 명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