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
예임
- 마감이 정해져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러닝커브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한다는 걸 깨달았다
- 라이브러리는 정말 편리하지만 남이 만들어 놓은걸 가져다가 커스텀해서 쓰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었
- 백엔드랑 이렇게 본격적으로 협업하는 건 처음인데 API 관련해서 작업하는 게 이렇게 어렵고 복잡한 일인지 몰랐다
- API 요청에 대한 응답 명세서를 작성하는데 문서화하는 작업이 생각보다 힘들었다
- 중간 프로젝트 때 처음부터 완벽하게 완성된 API를 가지고 작업하는게 피드백을 반영할 수 없어서 불편하다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감사한 일이었다,,,,,,,,
- 팀프로젝트고 해야할 일과 마감 시간이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내가 원하는 대로 구현하겠다고 하나를 계속 붙잡고 있는게 민폐처럼 느껴졌다
- 그렇다고 대충 만들면 그것도 민폐고 빨리는 못만들고,,
- 결국 실력 부족이 문제인 거 같다,, 열심히 해야겠다 ㅠㅅㅜ,,
지영
찬민
🔵 BE - 중간 회고록
✨ Liked (좋았던점)
승은
-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 같이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니 각자 가지고 있던 지식들이 합쳐져 상향 평준화가 되는 것 같습니다! 컨벤션이나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클래스 등은 다들 조금씩 다르게 사용해왔던 부분이 있었는데, 다 고려를 해보고 최적의 결론을 도출하니 나만의 컨벤션, 개발 기술이 점점 완성되어 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 이전 프로젝트에서는 못 해본 새로운 기술들을 사용해 볼 수 있었습니다!
JWT
토큰 인증을 구현해보면서 filter, provider, token 등을 커스텀해보고Spring Security
에 적용을 해 볼 수 있었던 것도 좋은 경험이었고, 객체 그래프 탐색으로 안되는 경우에QueryDsl
을 활용하여 API를 구현해 본 것도 좋았습니다! AWS S3에 파일을 업로드 해보고, EC2에 자동 배포까지 해보면서 AWS를 많이 활용해보고 싶은 욕심도 조금 생겼습니다..! Github actions, project, issue 등도 활용해보니 깃허브의 기능들도 좋은 게 많네요! 정말 아는 만큼 고퀄의 결과물을 낼 수 있다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갈 길이 머네요..
- 프론트엔드 개발자와도 협업을 해보면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원하는 것, 필요로 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고, 어떻게 하면 같이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도 고민해보게 되었습니다! 팀원들이 모두 긍정적으로 열심히 참여를 해서 모처럼 제대로 된 팀프로젝트를 할 수 있었고,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
수빈
- 프론트분들과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좀 더 구체적이고 완성도가 높게 진행되는거 같습니다 👍🏻
- 온라인으로만 진행했던 중간 프로젝트와 달리 오프라인 모임도하다보니 소통도 잘되고 진행속도가 빠르게 진행이 되었던 점이 좋았습니다.
- 모두 의견도 적극적으로 얘기해서 프로젝트가 올바른 방향으로 잘 가고있는거같아요!
- 그리고 팀원분들과 멘토님도 코드리뷰를 열심히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정미
- api 설계를 다 같이 먼저 하고 시작했던 점
- 깃허브 이슈를 사용해서 별다른 설정 없이 pr, 프로젝트와의 연동이 편했다
- 프론트와의 협업 과정을 알 수 있었다
🤦♂️ Laked (아쉬웠던점)
승은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개발자가 서로 어떻게 개발을 진행해나가는지 잘 몰라서 쉽지 않은 부분이 있었습니다. 백엔드라고 백엔드만 하지 말고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은 가지고 있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어느정도 API 개발에 익숙해졌다고 생각했는데, 또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다보니 헤매고 시간이 오래 걸렸던 점이 좀 아쉬웠습니다. 많이 경험을 해보고 새로운 기술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저만의 방식을 찾아야 될 것 같습니다..!
- 새로 배운 것이나 이슈, 에러 해결 등을 기록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했는데 시간 여유가 없다 보니 못하게 된 점이 아쉽습니다. 이젠 템플릿을 만들어놓고 바로바로 기록할 수 있게 준비를 해 놔야 될 것 같습니다!
수빈
- 프론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인지 같이 소통하는 과정이 매끄럽지 않았던거같습니다.
- 오프라인 미팅은 소통이 원활하게 잘 된다는 장점도 있지만 개발속도가 좀 느려진다는 단점도 있는거 같습니다.
- 역할분담을 하고 내가 맡은 부분을 일정에 맞춰 잘 끝냈어야했는데 중간에 시험이 있어서 개발해야하는 부분이 조금씩 미뤄졌던게 좀 아쉽습니다 ㅠㅠ
정미
- 나의 개발 속도... 다시 공부하고 구현을 하려다보니 개발 진도가 오래 걸렸다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서로의 코드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어떤 컨벤션을 가져야하는지 알지 못해서 서로 답답했었다
- 전체 팀 컨벤션 수정사항에 관한 이야기가 잘 되지 못했던 것 ex> ApiResponse 삭제
- 코드리뷰가 점점 없어졌다
📈 Longed For (개선할점)
승은
- 시간 관리를 좀 더 잘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삽질을 많이 해보는 것이 도움은 되겠지만 좀 더 빠르게 많이 삽질을 해볼 수 있도록 시간 관리를 개선해 봐야겠습니다!
- 초기 셋업에 대한 부분을 정리해놓고 새로운 프로젝트에 바로 적용할 수 있게 준비하는 부분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웬만한 것들은 미리 다 준비해놓고 빠르게 목표를 달성하는 프로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
수빈
- 변경사항에 대해서 바로바로 얘기해야하고 겪은 에러사항에 대한 회의나 기록을 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 팀 프로젝트에 대한 나만의 템플릿을 만들어놓는다면 진행이 빠르게 될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이슈들이나 진행상황에 대해 기록을 해놓으면 다음 프로젝트나 회고할때 도움이 될거같아서 간단하게나마 기록하는 습관을 들여야할 것 같습니다 ✏️
정미
- 셋업이 처음부터 잘 되어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생기는 변경 사항을 바로 모두에게 공유해야함
- 버전별 스프린트 설정이나 기능별 제작 기간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다.
- 필요할 때가 아니라 정기적으로 전체 회의를 가지는 시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