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T(Keep, Problem, Try) 방식으로 작성하는 중간 회고록입니다.
📞 프로젝트 <인디 타운> 소개
독립을 한 2, 30대 1인 가구를 위해 1인 가구가 소비하기에 많은 물건/음식을 주문할 때에 근처 같은 동네에 살고 있는 유저들과 함께 구매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현재까지 우리가 하려고 계획했던 것들
기획 및 정책 수립
와이어프레임 작성
UI/UX 디자인
기본적인 컴포넌트 개발
기능 구현/개발 단계 진입
❤ Keep
현재 만족스러운 부분
- 개발 이전 단계에서 기획 및 정책, UI/UX를 확실히 정하고 시작해서 개발을 하면서 개발외적으로 고민해야 할 부분이 적음
- 스토리북 주도형 개발에 대한 만족 시각적으로 컴포넌트가 어떤 상황인지 확인 할 수 있음
계속 이어가면 좋을 것 같은 부분
- 긍정적인 팀원들의 성향
- 개발 작업이나 외적으로도 개개인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주려고 노력하는 분위기
- 동기/비동기 커뮤니케이션 속도가 빨라 신속한 이슈 해결
💥 Problem
불편하거나 어려웠던 부분
- 업무 분담이 작업 이전에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각자 알아서 눈에 보이는 것부터 작업하기 시작하여 마감 기한 미설정, 작업 진척도 보이지 않음
- 다른 컴포넌트에도 사용해야 하는 기초적인 컴포넌트 개발 미뤄지는 문제
- 뷰 프로젝트 마무리로 인해 리액트 학습 일정이 밀렸음
- 리액트 학습과 프로젝트를 병행하다 보니 개발 외적으로 소비되는 시간이 많음
- 강의가 컴포넌트 위주로 구성되어 리액트의 기초 구조, 환경 세팅 등에 대한 어려움
- 깃을 통해 처음 협업하다보니 겪는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쓰는 시간이 큼
구체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
- 구체적인 개발 명세서 및 개발 파트 분담, 마감 기한 설정 > 문서화 필요
- 개개인이 먼저 겪은 문제/문서화 활성화를 통해 다른 팀원들이 이슈 해결에 소모할 시간 단축하고자 함
🐣Try
Problem에 대한 실행 가능한 해결책
- 기존에 작성해둔 IA 문서 좀 더 구체화하여 확실한 개발파트 분담, 진행 상황 공유 > 스크럼 때 활용하고자 함
- 개발 시에도 기본적으로 필요한 기초 기능/컴포넌트를 우선으로 개발 진행 후 상위 기능 개발 진행하고자 함
- 깃허브 리드미 파일에 진행하는 폴더구조 등 프로젝트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 확립하여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