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으로 자유롭게 작성하는 방침을 가져가되,
최소한 면담 주제와 주고받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해주세요! ☺️
면담 주제
3주차 - 자기소개 및 인사
활동 내용
- 자기소개 및 인사, 목표 등 개인에 대한 얘기를 들어보는 시간
- 앞으로 스크럼 및 코어타임 방향성에 대한 논의
면담 주제
4주차 - 개인면담 진행
활동 내용
유민환 - 공부를 깊게 하며, 코드에 고민한 흔적이 많음, 프리팀에서도 봤다시피 데브코스를 잘 할 것으로 보임
박우진 - 배우는거에 열심이며 과제도 유민환님과 더불어 가장 빨리 제출하고 열의가 많이 보임
김수빈 - 여러가지 공부를 깊게하고 이것저것 시도를 많이 하는 모습이 좋음
강용수 - 성격은 활발하나, 코딩과 과제에 대해서 약간은 아쉬운 점이 존재함.
김재욱 - 말도 별로 없고 소극적인 모습이 아쉬움, 과제도 약간 늦어지는 편임
면담 주제
5주차 - 라이브 코드리뷰 진행
활동 내용
1주차 Weekly 미션을 대상으로 강용수님, 박우진님 코드로 라이브 코드리뷰 진행
코드에 대한 질의 응답 나눔
코드리뷰 내용
- DB
- UUID 없이 이메일과 같은 값으로 pk를 줄 수 있다
- 찾을게 많아지면 db의 인덱싱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 ex) custeomr type 같은 것은 보통 안걸려 있으니 주의해서 사용하자
- 로깅
- 로깅할때 민감한 정보는 빼는게 좋다
- 삭제는 중요한 정보기 때문에 로깅을 남기는게 좋다
- 사실 삭제하진 않고 보통 상태값을 하나 만들어서 체크해놓는다
- 아키텍처
- 서비스간에 서로 협력한다
- 서비스에서 서비스를 호출하는 형식으로 많이 만들어진다
- 다른 도메인의 레포 주입받아서 쓰지말고 서비스를 주입받자
- 레포지토리에서
- 조회용 Transaction에는
Transactional(readOnly = true)
해주는 것이 좋다 - master-slave 구조에서 slave에서 조회를 처리하고, 쓰기작업은 master가 담당한다
- 테스트
- 모킹을 사용하면 편하다는걸 느낄 수 있다.
유닛테스트
는 보통 Mocking해서 많이 쓰고통합테스트
는 무에서부터 API 호출로만 전체적으로 테스트 해준다@SpringBootTest
- Application Context도 같이 올라가기 때문에 무거워짐
- 통합테스트할때는 사용하는데, UnitTest할때 그걸 띄워버리면 빌드시간이 느려진다
- 기타
- Date와 DateType은 다르다. 따라서 헷갈릴 수 있으므로 이름을 맞춰주자
- 스트림 쓸때 굳이 두번씩 돌릴 필요없이 줄일 수 있으면 줄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