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찬민님 녹음 발표 잘 들었습니다. ( 내용이 쏙쏙 들어왔어요! )
아이덴티티를 생각하면서 작업하신게 좋았어요 (처음에 서비스를 생각하면서 디자인 색상 선택 등등)
실제로도 처음 기획, 디자인할때 아이덴티티를 생각하며 색상 선정하는데 많은 시간을 사용하기도 해요.
서비스를 사용 해 본 후 제 소감 말씀드리겠습니다.
- 반응형도 지원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처음에 아바타 이미지가 없을경우 placeholder 샘플 이미지로 넣어도 좋을것 같습니다. (커버 이미지도 동일)
- 메인화면에 가운데가 너무 비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이미지들을 중간배치 해도 좋을 것 같군요.
- 가입 한 후에는 바로 로그인되어서 메인화면으로 이동시키는게 사용성에 더 좋습니다.
- 비밀번호 변경하면 변경된 비밀번호로 로그인 유지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context api를 사용하여 새로고침 후 데이터 유실에 대한 피드백
보통 새로 고침 후 유지되어야 하는 데이터는 검색조건, 페이지네이션 정보 그 외 들이라 생각합니다. 이런 데이터는 url parameter로 관리를 합니다.
회고
무민2팀의 회고록을 보면서 오히려 저도 배울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루 시작, 중간, 마무리를 정말 계획적으로 잘 하신 것 같아요. 각 팀원들한테
언제부터 언제까지 어떤 분량을 마무리해주세요
하면 중간에 소통 없이 그날까지 기다리고 결과물을 보려고 하면 보통 마무리가 잘 안되어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무민2팀에서는 각자의 컨디션을 공유하면서 하루 할 일 선정, 코어타임을 두고 진행, 이슈가 생기면 각자 기록해 두었다가 같이 해결하신 점이 보기 좋았습니다.각자 작업을 하다가 이슈를 발견했을때, 이슈를 만들어놓고 하시던 작업을 하던 후에 이슈를 처리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단
hotfix
일경우에는 하던 작업을 일단 중단 하고, hotfix
를 처리하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팀원들 간에 서로 트래킹이 잘 되어야 합니다.협업툴 (Jira, git issue 등)을 잘 사용하는 것도 이슈 하나 안 놓치고 원활한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서비스 재미있게 훑어 봤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