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평
- 디자인이 매우 깔끔하고 좋다. 센스 굿
- 쉽지 않았음에도 stories 개발 위주로 진행한점이 훌륭했음 짝짝
- 디테일 부분에서는 조금 아쉬움.
- 깃 로그를 보니 어느정도 공평하게 업무가 분배된것 같습니다.
UI 관련
공통
화면 터치영역들 확인


위 스크린샷들은 클릭하면 전체영역이 클릭됨. 이벤트 버블링 및 캡쳐링 업데이트 필요
로그인 및 회원가입
- 첫 화면에 바로 보이지 않는 로그인, 회원가입

첫 화면에는 로그인, 회원가입 버튼이 바로 눈에 보여야 합니다. 사용자가 스크롤해서 회원가입을 누르게 하는 것은 이 상하네요.
- 넘어가기
내 타운 찾기 → 넘어가기가 렌더링 되는 것이 이상합니다
넘어가기는 보통 지금 당장은 내 위치를 설정하지 않고 넘어간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선택하기 정도로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두번 쓰게하여 한번 더 확인하는 과정이 보통 일반적으로 있습니다.
- 내위치가 제주시 → 현재 위치로 바뀜
- 지도 api → react 컴포넌트 업데이트 간 업데이트 문제로 보임.
- 내 위치가 확실해졌을때만 보이도록 수정 필요
- 기기마다 맞춘 반응형 처리 필요
- 화면 iphone 6/7/8 plus 기준으로는 하단 패딩이 맞으나 galaxy s5기준으로 아래 공간이 없거나 어색함.
→ 버튼 아래에도 마진을 주어 띄워주기
글 작성
- 너무 작은 이미지 영역
- 확인 어려움 가로, 세로에 일정한 값을 주어 최소 크기 필요
- 불친절한 UI

새로고침시 오류
루트페이지를 제외하고 나머지 페이지에서 새로고침을 할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왜 나고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코드 및 협업
- 비선형적인 깃 관리
- 나말고 다른 작업자를 위하여...
- 코드 검토 효율성 및 효율성 향상.
- 후에 수정해야 할 때 더 용이함.
- 확장성

깃을 선형적으로 관리해야 하나 vs 비선형적으로 관리해도 되나의 논쟁점은 있습니다.
다만 저는 깃로그를 간단하게 유지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형 (일자로 관리)은 일반적으로 따라가기가 더 쉽습니다. 이것은 코드가 잘 구조화되어 있다는 느낌을 줌. 성자 말고 다른 사람이 코드 또는 기록을 볼때 진행 상황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음.
더 논리적이고 면 복잡한 히스토리나 훨씬 더 쉽게 따라갈 수 있음.
팀이 커질 때 기록을 비선형이면 브랜치가 나누어져 (topic 등)때 하나의 브랜치 commit이 매우 많아질 가능성이 있음. 그때 선형으로 관리하면 하나로 합쳐져 좀 더 가독성있게 관리 가능.
- Api 레이어 나누기
- Api가 하나로 뭉쳐져 있습니다. 로그인 등 auth 관련로직과 메인 글작성 관련 로직들을 분리해서 관리해보는건 어떨까요?
- api에서 axiosInstance를 관리하는 부분에서 상당히 많은 중복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화면 터치영역들 확인


위 스크린샷들은 클릭하면 전체영역이 클릭됨. 이벤트 버블링 및 캡쳐링 업데이트 필요
로그인 및 회원가입
- 첫 화면에 바로 보이지 않는 로그인, 회원가입

첫 화면에는 로그인, 회원가입 버튼이 바로 눈에 보여야 합니다. 사용자가 스크롤해서 회원가입을 누르게 하는 것은 이 상하네요.
- 넘어가기
내 타운 찾기 → 넘어가기가 렌더링 되는 것이 이상합니다
넘어가기는 보통 지금 당장은 내 위치를 설정하지 않고 넘어간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선택하기 정도로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두번 쓰게하여 한번 더 확인하는 과정이 보통 일반적으로 있습니다.
- 내위치가 제주시 → 현재 위치로 바뀜
- 지도 api → react 컴포넌트 업데이트 간 업데이트 문제로 보임.
- 내 위치가 확실해졌을때만 보이도록 수정 필요
- 기기마다 맞춘 반응형 처리 필요
- 화면 iphone 6/7/8 plus 기준으로는 하단 패딩이 맞으나 galaxy s5기준으로 아래 공간이 없거나 어색함.
→ 버튼 아래에도 마진을 주어 띄워주기
글 작성
- 너무 작은 이미지 영역
- 확인 어려움 가로, 세로에 일정한 값을 주어 최소 크기 필요
- 불친절한 UI
- 날짜와 시간을 아래와 같이 분리해서 진행해보는건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