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공통 회고
☝️ 모든 것을 털어내 봅시다.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무엇이 되었든 좋으니 모든 것을 털어내봅시다.
Good
기획
- 공공 데이터를 사용해볼 수 있는 주제여서 좋았다.
- 아이디어를 소개하고 토의하면서, 프로젝트 주제를 합의해나가는 과정이 좋았다.
- 더미데이터에 대해서 프론트와 백의 의견이 많이 갈렸지만 원만한 협의를 한 것도 좋았다.
- 개인적으로 관심있었던 주제였기 때문에 열정이 있었다.
프로젝트 관리 (git/github)
- 애자일 스크럼 방식을 적용하여 스프린트 단위로 관리를 잘 했던 것 같다.
칸반보드를 스프린트별로 잘 활용한 것 같다.
- PR 하려면 2명 이상의 approve를 받도록 한 점
- git husky: 조금 까다로웠지만, 배포 시의 오류를 미리 잡을 수 있어서 좋았다.
- projects, wiki, discussion 등의 기능을 용도에 맞게 잘 사용한 것 같다.
다른 도구가 필요하지 않았다. github에서 모두 관리.
- 이슈 기반 브랜치 생성
코드 리뷰
- 동료들과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던 점이 좋았다.
-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서 좋았다.
- 같이 작업해야 되는 부분에 대해 질의 응답을 하기가 편했다.
- 코드 리뷰를 꼼꼼하게 한 덕분에, 프로젝트 내에서 코드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었다.
- 다른 동료의 로직 구현 방식을 보면서, 여러가지 관점의 구현 방식을 배울 수 있었다.
개발
- Next.js, Recoil, Antd 등의 신기술을 사용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 MSW를 사용해 볼 수 있어서 개발 과정에서 이점을 얻을 수 있었다.
- 빠른 배포 덕분에 오류 리포팅을 선제적으로 할 수 있었다.
- AccessToken, RefeshToken 등의 인증 관련 개념을 공부하고 적용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
프로젝트 문서화
- 노션을 통해 체계적으로 문서를 정리할 수 있던 점이 좋았다. (회의록, 주요 문서 등)
- github의 discussion을 활용한 점이 좋았다.
팀 문화
- 프로젝트에 열정과 책암감이 있는 팀원들이라서 좋았다.
- 토론에서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시해주었다.
- 리더십이 있는 팀원이 있어서 좋았다.
- 전체 회의에서 진행을 잘 해 주었다.
- 프론트-백간의 의견이 잘 맞지 않을 때, 중립 입장에서 조율을 잘 해 주었다.
- 팀 공동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태도가 좋았다.
- 전반적으로 화기애애했고, 작업이 늦어진다고 탓하지 않은 점. 배려하는 자세를 보였다.
Bad
기획
- 기존에 많이 있는 서비스였다는 점. 차별화를 주고 싶었는데 아쉬웠다.
- 초반에, 프론트와 백 사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 차이가 있었다.
(공동 회의를 더 많이 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
- 팔로우/팔로잉, 알림, 채팅 등 추가하고 싶었던 기능이 많았는데 구현하지 못해 아쉬웠다.
(서비스의 플랫폼적 특성이 더 잘 드러났을 것이다)
- 기획이 구체적이지 못했던 것 같다. 이 때문에 개발 과정에서 혼선이 있었다.
(컴포넌트 등 세부적인 것을 명확히할 필요가 있었다)
프로젝트 관리 (git/github)
- 프로젝트 후반으로 갈수록 이슈, 프로젝트 관리가 소홀해진 점이 아쉬웠다.
- 머지의 속도가 느려서 아쉬웠다. 다음 기능을 구현하는데 흐름이 조금 끊겼다.
- git husky가 익숙하지 않아서 초반에 혼선이 있었다.
코드 리뷰
- 너무 꼼꼼하게 리뷰를 해서 그런지 머지(작업 속도)가 조금 느렸던 것 같다.
- 기능보다는 클린 코드, 컨벤션 위주로 코드 리뷰가 이루어졌던 것 같다. 아쉽다.
- 브랜치에서 직접 동작을 해봤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개발
- Next.js, Recoil, 쿠키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다.
기술의 사용법보다는 내부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더 필요했다고 생각한다.
- 기본 컴포넌트 개발에 아쉬움이 있었다 (중복된 컴포넌트 등)
- 인증 관련 지식을 더 잘 알았다면 구현을 더 잘 할 수 있었을 것 같다.
프로젝트 문서화
- 노션과 discussion의 역할을 확실히 구분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 개발 이슈와 해결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문서화가 부족했던 것 같다.
팀 문화
- 팀장이 혼자 너무 많은 짐을 짊어지려 한 거 같아서 아쉬웠다.
- 팀원이 작업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 역할 분배가 잘 이루어졌다면 더 좋은 결과물을 낼 수 있었을 것 같다.
- 팀 간의 회의 내용이 문서화가 잘 안 되고, 구두로 끝난 것 같다. 나중에 찾아보기 어려웠다.
- 공동 회의 전에, 미리 안건을 알았으면 시간이 더 단축됐을 것 같다. (회의를 너무 많이 한 듯)
- 디코보다는 슬랙으로 대화했다면 시간이 단축됐을 것 같다.
- 프론트-백의 의견 조율이 후반부에도 잘 이루어지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