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브클래스에서 constructor를 생략하지 않을 경우 서브클래스의 constructor에는 반드시 super를 호출해야한다.
- 서브클래스의 constructor에서 super를 호출하기 전에는 this를 참조할 수 없다
- super는 반드시 서브클래스의 constructor에서만 호출한다.
super 참조
메서드 내에서 super를 참조하면 수퍼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
상속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 과정
서브클래스의 super 호출
[[ConsructorKind]] - base, derived
서브클래스는 자신이 직접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 수퍼클래스에게 인스턴스 생성을 위임 → super클래스를 호출해야 하는 이유
수퍼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과 this 바인딩
수퍼클래스의 constructor 내부에의 코드가 실행되기 이전에 암묵적으로 빈객체 생성 → this에 바인딩
this는 생성된 인스턴스를 가리킴
인스턴스는 new.target이 가리키는 서브클래스가 생성한 것으로 처리된다
수퍼클래스의 인스턴스 초기화
서브클래스 constructor로의 복귀와 this 바인딩
super가 반환한 인스턴스가 this에 바인딩된다.
서브클래스는 별도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 super가 반환한 인스턴를 this에 바인딩하여 그대로 사용
⇒ super가 호출되지 않으면 인스턴스가 생성되지 않으며, this 바인딩도 할 수 없다
서브클래스의 인스턴스 초기화
인스턴스 반환
표준 빌트인 생성자 함수 확장
표준 빌트인 객체도 [[Constructor]] 내부 메서드를 갖는 생성자 함수 → extends 키워드 사용 가능
var Person = (function ()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프로토타입 메서드
Person.prototype.sayHi = function () {
console.log(`Hi I'm ${this.name}`);
};
//생성자 함수 반환
return Person
}())
//인스턴스 생성
var me = new Person('Shin');
me.sayHi(); //Hi I'm Shin
var me2 = new Person('Nara');
me2.sayHi(); //Hi I'm Nara
// 파스칼 케이스를 사용하자
class Person {}
// 익명 클래스 표현식
const Person = class {}
// 기명 클래스 표현식
const Person = class MyClass {}
//클래스 선언문
class Person {
constructor(name){
//인스턴스 생성 및 초기화
this.name = name;
}
// 프로토타입 메서드
sayHi() {
console.log(`Hi I'm ${this.name}`);
}
// 정적 메서드
static sayHello() {
console.log('Hello');
}
}
//인스턴스 생성
const me = new Person('Shin');
// 인스턴스의 프로퍼티 참조
console.log(me.name); //Shin
//프로토타입 메서드 호출
me.sayHi(); //Hi! I'm Shin
Person.sayHello(); // Hello!
console.log(Person);// Uncaught ReferenceError: Person is not defined
class Person {}
class Person {}
const me = new Person();
console.log(me); //Person {}
class Person {
// 생성자
constructor(name){
//인스턴스 생성 및 초기화
this.name = name;
}
}
class Person {
// 생성자
constructor(name, address){
//인수로 인스턴스 초기화
this.name = name;
this.address = address;
}
}
//인수로 초기값 전달. 초기값은 constructor에 전달됨
const me = new Person('Shin', 'Daejeon');
console.log(me); //Person {name: 'Shin', address: 'Daejeon'}
//클래스 선언문
class Person {
constructor(name){
//인스턴스 생성 및 초기화
this.name = name;
}
// 프로토타입 메서드
sayHi() {
console.log(`Hi I'm ${this.name}`);
}
}
//인스턴스 생성
const me = new Person('Shin');
me.sayHi(); //Hi! I'm Shin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Person.sayHi = function () {
console.log('Hi!');
};
Person.sayHi(); //Hi!
//클래스 선언문
class Person {
constructor(name){
//인스턴스 생성 및 초기화
this.name = name;
}
static sayHi() {
console.log('Hi!');
}
}
Person.sayHi(); //Hi!
class Person {
//생성자
constructor(name) {
// 1. 암묵적으로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this에 바인딩 된다
console.log(this); // Person {}
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this) === Person.prototype); //true
// 2. this에 바인딩 되어있는 인스턴스를 초기화 한다
this.name = name;
// 3. 완성된 인스턴스가 바인딩된 this가 암묵적으로 반환된다
}
}
//클래스 선언문
class Person {
constructor(name){
//인스턴스 프로퍼티
this.name = name; // name 프로퍼티는 언제나 public
}
}
//인스턴스 생성
const me = new Person('Shin');
console.log(me.name); //Shin
//클래스 선언문
class Person {
constructor(firstName, lastName){
this.firstName = firstName;
this.lastName = lastName;
}
//fullName은 접근자 함수로 구성된 프로퍼티
//getter
get fullName() {
return `${this.firstName} ${this.lastName}`;
}
//setter
set fullName(name) {
[this.firstName, this.lastName] = name.split(' ');
}
}
//인스턴스 생성
const me = new Person('Ungmo', 'Lee');
//데이터 프로퍼티를 통한 프로퍼티 값의 참조
console.log(`${me.firstName} ${me.lastName}`); //Ungmo Lee
//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한 프로퍼티 값의 저장
//setter 함수가 호출된다
me.fullName = 'Nara Shin';
//getter 함수가 호출된다
console.log(me.fullName); // Nara Shin
class Person {
name = 'Lee';
}
const me = new Person('Lee');
class Person {
// 초기값을 할당하지 않으면 undefined를 갖는다
name;
constructor(name) {
//클래스 필드 초기화
//클래스 필드 참조시 this사용
this.name = name;
}
}
const me = new Person('Lee');
console.log(me) //Person {name: "Lee"}
class Person {
//private 필드 정의
// 클래스 몸체 내부에서 정의해야 한다
#name = '';
constructor(name) {
// private 필드 참조
this.#name = name;
}
}
const me = new Person('Lee');
class Person {
//private 필드 정의
#name = '';
constructor(name) {
// private 필드 참조
this.#name = name;
}
get name() {
return this.#name.trim();
}
}
const me = new Person(' Lee ');
console.log(me.name)
class MyMath {
//static public 필드 정의
static PI = 22 / 7;
//static private 필드 정의
static #num = 10;
//static 메서드
static increment() {
return ++MyMath.#num;
}
}
console.log(MyMath.PI);
console.log(MyMath.increment());
// 수퍼(베이스/부모)클래스
class Base {}
// 서브(파생/자식)클래스
class Derived extends Base {}
function Base(a) {
this.a = a;
}
class Derived extends Base{}
const derived = new Derived(1);
console.log(derived); // Derived {a: 1}
function Base1() {}
class Base2 {}
let condition = true;
class Derived extends (condition ? Base1 : Base2) {}
const derived = new Derived();
console.log(derived); //Derived {}
console.log(derived instanceof Base1); //true
console.log(derived instanceof Base2); //false
constructor(...args) { super(...args); }
class Base {
constructor() {}
}
class Derived extends Base {
//constructor(...args) { super(...args); }
}
const derived = new Derived();
console.log(derived); //Derived {}
//수퍼클래스
class Base {
constructor(a, b) {
this.a = a;
this.b = b;
}
}
//서브클래스
class Derived extends Base {
//암묵적으로 constructor가 정의된다
//constructor(...args) { super(...args); }
}
const derived = new Dervied(1, 2);
console.log(derived); //Derived {a: 1, b: 2}
//수퍼클래스
class Base {
constructor(a, b) {
this.a = a;
this.b = b;
}
}
//서브클래스
class Derived extends Base {
constructor(a,b,c){
super(a,b);
this.c = c;
}
}
const derived = new Dervied(1, 2, 3);
console.log(derived); //Derived {a: 1, b: 2, c: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