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에서 엔티티를 수정하는 2가지 방법
- 변경 감지 (Dirty cheking)
@Transactional void update(Item itemParam) { //itemParam: 파리미터로 넘어온 준영속 상태의 엔티티 Item findItem = em.find(Item.class, itemParam.getId()); //같은 엔티티를 조회한다. findItem.setPrice(itemParam.getPrice()); //데이터를 수정한다. }
@Transactional void update(Long itemId, int price) { //itemParam: 파리미터로 넘어온 준영속 상태의 엔티티 Item findItem = em.find(Item.class, itemId); //수정할 엔티티를 조회한다. findItem.setPrice(price); //데이터를 수정한다. }
- 병합
- 병합은 준영속 상태의 엔티티를 영속 상태로 변경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Transactional void update(Item itemParam) { //itemParam: 파리미터로 넘어온 준영속 상태의 엔티티 Item mergeItem = em.merge(item); }
@Transactional void update (Long itemId, int price) { Item mergeItem = em.merge(new Item(itemId, price)); }

- 병합이라도 결국 변경 감지에 의해서 update sql 이 실행되는 것임
주의: 변경 감지 기능을 사용하면 원하는 속성만 선택해서 변경할 수 있지만, 병합을 사용하면 모든 속성이 변경된다. 병합시 값이 없으면 null 로 업데이트 할 위험도 있다. (병합은 모든 필드를 교체한다.)
병합이 아닌 변경 감지를 활용해라
즉 update 시
save
를 호출하지 말자@Transactional @Override public <S extends T> S save(S entity) { Assert.notNull(entity, "Entity must not be null."); if (entityInformation.isNew(entity)) { em.persist(entity); return entity; } else { return em.merge(entity); } }